• 흐림동두천 -3.0℃
  • 흐림강릉 0.7℃
  • 흐림서울 1.6℃
  • 연무대전 0.9℃
  • 흐림대구 4.7℃
  • 구름많음울산 4.3℃
  • 흐림광주 3.8℃
  • 흐림부산 5.2℃
  • 흐림고창 0.4℃
  • 제주 9.7℃
  • 흐림강화 0.8℃
  • 흐림보은 -1.3℃
  • 흐림금산 -1.6℃
  • 흐림강진군 4.4℃
  • 흐림경주시 2.4℃
  • 흐림거제 5.7℃
기상청 제공

타불라 라사 115 (계명교양총서 115선) - 말테의 수기

라이너 마리아 릴케(1875~1926, 독일), 릴케는 대체로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기실, 릴케는 시인 이상의 시인이다. 20세기 독일어 권 전체의 시문학을 대표하는 주자라고 해도 시비 걸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한국인들에게도 오래 전부터 ‘가을날 Herbsttag’의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일 인젤 출판사에서 릴케의 시를 다 모아 시집을 펴냈는데, 1100페이지에 이르렀다. 이런 시인 중의 시인이 소설을 한 편 썼다. 평생 딱 한 편 쓴 소설이 문학사에 큰 논쟁을 일으켰다. ‘소설도 아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릴케가 소설이라고 한 적도 없다. 그저 ‘산문서 Prosabuch’라고 했을 뿐이다. 그럼에도 편의상 소설로 칭한다. 이 문제적 텍스트가 바로 ‘말테의 수기’이다.

‘말테의 수기’는 릴케가 1902년 파리를 방문한 뒤 그 인상을 바탕으로 1904년에 시작해서 1910년에 완성한 수기 형식의 소설이다. 독일어로 250페이지 내외이니 그렇게 두껍지도 않다. 그 사이 이 작품은 세계적인 고전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 이야기랄 것도 없다. 통상 문학이라고 칭하는 책에서 얻는 재미나 감동을 기대했다가는 크게 실망할 것이다. 제목은 다 알지만 읽은 사람은 거의 없는 ‘고전의 굴욕’에 『말테의 수기』도 당당히 한 자리 차지할 것이다. 책을 완독하려면 상당한 인내심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다. 뚜렷한 줄거리는 없지만 그래도 책의 흐름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때는 20세기 초엽 어느 가을, 말테라는 28세의 덴마크 남자가 파리를 방문한다. ‘To be or not to be’로 고뇌했던 햄릿의 조국 덴마크에서 온 청년이다. 그는 허름한 아파트에 방을 얻고 파리를 배회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그가 돌아다니는 곳은 예술과 낭만의 현장이 아니다. 그가 먼저 주목한 것은 자선병원 근처에서 비틀거리다가 쓰러지는 사람이고, 그 다음은 산부인과 병원 담장을 짚고 힘겹게 걸어가는 만삭의 임산부이다. 조금 더 가면 육군병원이 나오는데, 골목마다 요오드포름 냄새와 감자튀김 냄새가 진동한다. 이 음울하고 칙칙한 파리 뒷골목에서 말테는 불안과 죽음의 냄새에 빠져든다. “사람들은 살기 위해 이리로 오지만 여기는 죽는 곳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것이 말테가 파리에서 받은 첫 인상이자 ’말테의 수기‘의 첫 문장이다.

이렇게 말테는 파리의 뒷골목을 배회하며 불안과 죽음의 모습을 인상주의 화가처럼, 맥락도 경계도 없이 스케치한다. 동시에 자신의 과거로 내려가 유년기를 추억해내는데, 이것 역시 음울하고 그늘진 풍경이다. 여기에 다시 몇몇 역사적 인물들을 나름대로 각색해서 그려낸다. 그렇다, ‘말테의 수기’는 일종의 그림이다. ‘수기’에 해당하는 독일어 ‘아우프짜히눙Aufzeichnung’ 실상, 그림 혹은 스케치란 의미가 더 강하다. 71개의 에피소드가 모자이크처럼 촘촘히 배열되어 있다. 애초에 릴케는 뚜렷한 서사를 의도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테의 혹은 작가의 의도는 분명하다. 그것은 시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미션이다. 그 방법이 원초적이다. “나는 보는 것을 배우고 있다.” 말테가 파리를 돌아다니며 던지는 일성이다. 마치 눈을 뜨게 된 봉사처럼 모든 걸 새로 시작하겠다는 설렘이고 각오다. 말테는 그때까지 자신이 쓴 모든 것은 무가치한 졸작이라고 가차 없이 비판한다. 평생 단 몇 줄이라도 제대로 된 시를 쓰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을 것이라는 결기도 드러낸다. 한 마디로, ‘말테의 수기’는 새로운 심미안을 얻기 위해 미의 도시 파리의 핵심에서 모든 미적 집적 물을 거부하고 자기와 고독하게 싸우는 한 청년의 내적 오디세이다. 그가 어느 정도로 고독하기로 작정했는지는 마지막 에피소드에 잘 드러난다. 그것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를 재해석한 이야기이다. 가히 도발적이다.

잘 아는 대로 예수님의 비유는, 집 나간 아들이 죽을 고생을 하다가 회개하며 귀향하고 아버지는 사랑으로 아들을 포옹한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그런데 말테가 설정하는 탕자는, 철저히 사랑을 거부하는 아들이다. 아들이 집을 나가는 이유가 온 집안이 쏟는 관심과 사랑이 너무 싫어서이고, 죽을 고생을 하다가 돌아와서도 간절히 염원하는 것은, 제발 사랑하지 말아 달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중지되지 않는 사랑 때문에 아들은 다시 집을 나갈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이다. 모든 사람이 갈구해마지 않는 사랑을 한사코 거부하는데 말테의 ‘탕자성’이 있다. 참된 자아를 발견하는데 가족의 사랑조차 장애가 된다는 처절한 주체의식이다. 등 뒤에 ‘헬리콥터 맘’을 두고, 소소한 일 하나에도 결정 장애를 겪고 있는 오늘날의 청춘들이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화두가 아닌가 싶다.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