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0.8℃
  • 구름조금강릉 -1.1℃
  • 구름많음서울 2.8℃
  • 구름많음대전 2.0℃
  • 흐림대구 1.2℃
  • 구름많음울산 1.2℃
  • 광주 2.9℃
  • 흐림부산 3.6℃
  • 구름많음고창 0.6℃
  • 제주 6.6℃
  • 구름많음강화 -3.4℃
  • 맑음보은 1.3℃
  • 흐림금산 0.8℃
  • 맑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0.2℃
  • 구름많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기시미 이치로, ‘미움받을 용기’

‘미움받을 용기’는 일본의 철학자 기시미 이치로가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가 주장하는 이론을 ‘철학자’와 ‘청년’이 나누는 대화형식으로 비교적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 책이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개인이 ‘나의 인생’을 살기 위한 방향제시를 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아들러에 대한 관심을 가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처럼 전개되는 내용이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도록 하는 한편, 청년이 던지는 질문에 대해 철학자가 펼치는 주장은 독자로 하여금 더욱 내용에 집중하도록 한다. 한 청년이 자기에게 일어났던 일을 철학자에게 말한다.

“어제 오후, 커피숍에서 책을 읽고 있는데 지나가던 웨이터가 제 상의에 커피를 쏟았어요. 산 지 얼마 안 된, 그것도 단 한 벌 뿐인 새 옷이었지요. 발끈한 저는 버럭 화를 내고 말았습니다. 평소 저는 공공장소에서 큰소리를 내지 않는 성격인데, 어제는 커피숍이 울릴 정도로 큰소리로 화를 냈어요. 분노로 이성을 잃고 만 거죠.”

청년의 행동에 대해 철학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자네는 ‘화가 나서 큰소리를 낸 것’이 아닐세. 그저 ‘큰소리를 내기 위해 화를 낸 것’이지. 다시 말해 큰소리를 내겠다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분노라는 감정을 지어낸 걸세...차근차근 설명하는 것이 귀찮아서 저항하지도 않는 상대를 더 값싼 수단으로 굴복시키려고 한 것일세. 그 도구로 분노라는 감정을 동원한 것이고.”

인간관계에서 받은 상처가 있다면 이 책이 상처를 해명할 것이다. 사회 속에서 비로소 개인이 되는 인간이 인간관계에서 상처받지 않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며 아무리 노력해도 나를 싫어하는 사람은 있기 마련이라고 다독여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고독을 느끼는 데도 타인을 필요로 한다는 주장을 마주하면 읽던 책을 덮고 잠시 생각에 잠기게 된다.

내가 살고 싶은 나의 삶과 다른 사람이 계획한 나의 삶 사이에 갈등하면서 나의 삶을 살아갈 용기가 없다면, 이 책은 생각을 정리하고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한다. 타인의 가치관과 기대에 맞춰 삶을 살게 하는 칭찬과 인정대신에, 미움받을 용기를 가지고 ‘나의 삶’을 살도록 강조한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