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0.0℃
  • 구름많음서울 14.2℃
  • 구름많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5.7℃
  • 흐림광주 17.3℃
  • 구름조금부산 19.5℃
  • 흐림고창 14.8℃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11.4℃
  • 구름많음보은 16.5℃
  • 구름많음금산 15.4℃
  • 흐림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6.8℃
기상청 제공

[교수님추천해주세요] 힘든 사회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이여, ‘아무도 네 인생을 대신 살아주지 않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새로운 세대’, ‘젊은이’, ‘청년’은 향후 국가를 이끌어갈 존재로서 중요하겠지만, 제게 이 세대는, 여러분은, 다른 이유로 소중하고 애틋합니다. 세월호, 이태원 참사 등, 너무 큰 슬픔을 목격하며 성장한 세대가 ‘행복하고 화려한 인생’만을 강요하는 SNS 사회를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지요. 여러분이 때때로 인생을 버겁다고 느낀다면, 그건 당연한 일입니다. 구시대보다 정신적으로 훨씬 더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에요. 지금처럼 실시간으로 비교당하는 세상은 역사상 없었던 것이 사실이니까요.

 

지혜도 부족하고 설득력도 초라한 저는, 죄송하게도, 이런 상황에 놓인 여러분에게 힘을 불어넣어 줄 만한 언변이나 필력을 갖추고 있지 못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한 아버지가 사랑하는 아들에게 장기간 써 보냈던 편지에 대해 알고 있기에 이 지면을 빌어 추천해 드리고자 합니다. 그 아버지는 18세기 영국의 정치가이자 유능한 외교관이었는데, 수많은 난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깊은 지혜와 생생한 처세술을 아들이 여섯 살일 때부터 장성할 때까지 정성껏 적어 보냈답니다. 그 내용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실제로 매우 유용한 것이었기에, 당시 영국 상류사회에서는 이 편지들이 책으로 묶여 나오자마자 자녀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세월이 흘러 이 책은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이튼 스쿨과 같은 명문 학교에서 오랜 세월 이용한 명저가 되었습니다. 인간관계가 가장 어렵다고 느껴진다면 ‘청춘’을 제대로 잘 살아가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여러분이 꽃길은 아닐지라도 좀 덜 험한 길로, 덜 우울한 마음으로 인생이라는 오솔길을 걸어가시기를 바라며, 특히 ‘인간관계’에 대한 현실적이고도 명쾌한 해답을 내려줄 이 한 권의 책을 적극 추천하는 바입니다.

 

‘인간관계’라는 미로에서 출구를 향해 걸어가고 싶으시다면, 지금 당장 ‘동산도서관’으로 달려가 보세요. 이 미로에서 여러분을 안전하게 꺼내줄 패스워드는 필립 체스터필드의 ‘아무도 네 인생을 대신 살아주지 않는다’입니다.

 

해 뜨기 직전이 가장 어둡습니다. 혹시 지금 암흑 속에 주저앉아있다면, 그건 곧 밝고 화사한 햇살이 여러분을 향하게 될 징조입니다. 넘어진 김에 숨을 고르며 조금 쉬었다 가세요. 더 높은 곳까지 다다르게 되실 겁니다. 다가올 여러분 모두의 행복을 축하드립니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