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4.0℃
  • 흐림강릉 0.2℃
  • 흐림서울 -3.5℃
  • 대전 -4.2℃
  • 흐림대구 1.9℃
  • 흐림울산 3.8℃
  • 흐림광주 0.0℃
  • 흐림부산 3.2℃
  • 흐림고창 -0.2℃
  • 구름많음제주 8.0℃
  • 흐림강화 -4.1℃
  • 흐림보은 -4.4℃
  • 흐림금산 -1.8℃
  • 흐림강진군 2.7℃
  • 흐림경주시 3.2℃
  • 흐림거제 3.6℃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소셜픽션?!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 즐겨보던 어린이만화잡지에는 먼 미래사회에나 가능할 과학기술을 소개하는 코너가 있었다. 당시 나를 단연 흥분케했던 것 중 하나는 ‘무빙 워크’였다. 그 후 어른이 되어 공항에서 처음으로 평지 무빙 워크를 탔을 때의 그 감격이란! 어릴 적 심취했던 공상과학(Science Fiction)이 현실화되어 눈앞에 펼쳐진 것이 아닌가! 과학기술이 사이언스 픽션을 따라간 것이다. 상상이 실현을 낳은 것이다.

무한경쟁의 시대에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에서 ‘상상’은 사치 아닌 사치요 금기 아닌 금기가 된지 오래라고 한다면 지나친 표현일까? 강의실 안팎에서 학생들을 만나며 한편으론 안쓰럽고 다른 한편으론 답답한 마음이었다. 현실 너머를 보려 하기보다는 주어진 현실에 자신을 맞추려는 학생들이 안쓰럽고, 그 현실 너머에 대해 말해주지 못하는 나 자신이 답답했다.

그런 나에게 『소셜픽션좭은 지금 세계는 무엇을 상상하고 있는가는 오랫동안 잊고 있던 ‘상상’을 상기시켰다. 어린 시절 사이언스 픽션으로서의 상상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해서도 먼저 상상이 있고 나서 제도와 문화가 뒤따라가서 현실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소셜픽션(social fiction)’으로서의 상상도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소셜픽션, 즉 사회적 상상이란 “사회에 대해 제약 조건 없이 상상하고 이상적인 미래를 그리는 기획방법이다.” 소셜픽션은 사회문제에 대한 당장의 해법을 생각하는 대신, 최소 20년 뒤 또는 30년 뒤의 모습을 상상하여 일을 기획하는 역방향 기획을 가능케 한다.

“장기적 미래를 생각하는 이들이 꿈꾸는 미래 사회의 모습과 현재 진행 중인 가장 앞선 실험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 책은, 이미 세계가 사회적 상상으로 꿈틀거리고 있음을 실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사회 혁신가들의 모임인 <스콜월드포럼>, 혁신적 아이디어의 축제인 <아스펜 아이디어 페스티벌>, 착한 자본으로 하여금 사회적 투자를 하도록 매개하는 장터인 <사회적 자본시장 컨퍼런스>, 그리고 새로운 사회에 부합하는 권력구조와 국제협력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세계청년리더포럼> 등이 바로 그것이다.

‘각개약진’과 당장의 해법을 강요하는 현실적 제약 조건을 뛰어넘어, ‘여럿이 함께’ 미래 사회에 대해 사회적 상상을 발휘하도록 격려하는 것! 그리고 그 상상이 상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현되었으며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금 벼리게 된 선생으로서의 나의 다짐이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