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한자어(漢字語) 써오기는 제가 교양 한자·한문 강의에서 꼭 한 차례 부여하는 과제입니다. 한자로 이루어진 두 글자 이상의 어휘, 그리고 그 낱말을 고른 까닭 한두 문장을 원고지에 써오면 됩니다. 학생들이 제출한 한자어는 그야말로 각양각색이지만 반드시 중복되는 낱말들이 있습니다. 그 단어를…
아이들이 성장해 기숙학교에 입소하고 난 다음, 시간이 나면 하루에 한편의 영화를 시청하는 것이 어느덧 생활이 되었다. 지금까지 보았던 많은 명작들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가슴에 머물렀던 영화는 ‘꾸뻬씨의 행복여행’이다. 원작 소설을 영화로 제작한 것으로 행복을 찾아 떠나는 여행 이야기가 이 영화의…
잊을 수 없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있기 마련입니다. 모두가 두려워하는 질병으로 큰 수술을 받았지만, 여전히 미래에 대해 작은 희망조차 품을 수 없었던 시간, 제게는 그때가 바로 그런 순간이었습니다. 위로와 희망이 간절하게 필요했던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흔히 그렇듯 그 위로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오랜만에 공기가 맑아 집의 온 창문을 다 열었습니다. 어느새 쌓인 곳곳의 먼지도 털고, 언젠가 마감 세일이라는 말에 혹해 서둘러 집어 들었다 냉장고 한 쪽에서 시들해져가고 있는 음식들도 꺼내 버렸습니다. 물론 수건이며 실내복이며 하는 것들을 몽땅 집어넣어 세탁기도 돌렸습니다. 대충 집안일을 해치우…
내가 경험할 수 없는 세계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할 수 있다는 것. 책 읽기의 큰 즐거움 중 하나이다. 또한 그것을 통해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확장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한 일이다. 흔히 간첩이라 불리는 스파이의 세계는 영화나 소설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007…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는 IoT(Internet of Things)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들이 기존 제조업과 융합해 생산능력과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이러한 4차 산업혁명 물결의 한 가운데 서 있지만 누구도 이에 대비하여 우리 학생들이 어떻게 교육을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
학생들과 상담 혹은 면담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에 관심이 많고 취업에 대한 걱정이 상당하다는 것을 많이 느낀다. 하지만 학생들은 어떤 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몰라 더욱 고민이 깊었다. 어떤 학생은 시키는 것은 잘할 수 있을 것 같으니 아무 기업에나 입사하고 싶다고 하였…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는 1965년 뉴욕에서 초연된 이래 반세기 동안 세계 곳곳에서 상연되며 명작의 반열에 오른 브로드웨이 뮤지컬이다. 이 공연이 처음 막을 올렸을 때 평론가들은 상업 극장가에서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라 예상했었다. 여기에는 여타의 뮤지컬과 달리 특별한 무대 전환이나 화려한 의…
“당신이 이 세상에서 제일 멋져!” 라는 말을 들으면 당신은 삶의 에너지가 넘치도록 쏟아지지 않을까? 따뜻한 말은 관계의 온도를 높이고 지금의 나를 한층 더 성장 시키게 하는 에너지가 될 것이다. 대학에 입학한 학생, 취업에 성공한 직장인, 결혼을 한 부부들은 인생 최고의 환희의 순간을 맛보고 행복은 이…
영국 뉴캐슬에 아내를 잃고 혼자 살아가는 노년의 목수 다니엘이 있습니다. 심장 질환으로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 된 다니엘은 의사의 권유에 따라 질병급여를 신청하지만 거부당하고 맙니다. 다니엘은 재심을 신청하기 위해 관공서를 찾아가지만, 컴퓨터를 사용해 본 적이 없는 그로서는 온라인 신청절차가…
최근 중남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중남미는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해 있고 생소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중남미하면 개도국, 빈곤, 치안부재, 마약과 같은 부정적인 단어들을 먼저 떠올리는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최근 스페인어를 배우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
많은 사람들은 회계전문가들은 고리타분하며, 숫자에 집착하고 편협하다고 단정한다. 영화 ‘Untouchable’, ‘Schindler’s List’, 그리고 ‘Producers’에 나오는 회계담당자들은 검은 뿔테 안경을 쓰고 있으며, 숫자가 빼곡한 회계장부를 목숨처럼 소중히 여긴다. 일본 드라마 ‘감…
우주가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는가? 그것을 측정할 수 있는가? 그것은 우주가 무한하다고 믿는 것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뷰티풀 마인드(A Beautiful Mind)’는 천재 수학자이며 프린스턴 대학의 교수 존 내쉬의 삶을 조명한 영화이다. 그는 비록 중간에 정신분열로 인해 힘든 시간을 겪기도 했지만 의…
‘Sad movies always make me cry.’ 수 톰슨의 노래 가사가 틀린 말이라고 자신했는데, 요즘엔 슬픈 영화가 정말 슬프게 느껴질 때가 있다. <동주>를 몹시 힘들게 겨우 봐냈고, <도가니>나 <귀향>은 아예 볼 엄두도 못 내고 있다. “삶은 진지하고 예술은 쾌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