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7.1℃
  • 구름조금강릉 30.3℃
  • 구름조금서울 25.1℃
  • 구름조금대전 25.5℃
  • 흐림대구 26.5℃
  • 흐림울산 25.1℃
  • 흐림광주 23.5℃
  • 흐림부산 25.5℃
  • 흐림고창 22.8℃
  • 흐림제주 21.5℃
  • 구름많음강화 21.8℃
  • 구름많음보은 24.6℃
  • 구름많음금산 24.3℃
  • 흐림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7.4℃
  • 흐림거제 25.8℃
기상청 제공

2022학년도 2학기 교원·직원 퇴임식 개최

 

우리학교를 위해 헌신해 온 교직원들이 지난 2월 27일 축하와 격려 속에서 퇴임을 맞이했다.


먼저 당일 오전 10시 성서캠퍼스 행소박물관 시청각실에서는 2022학년도 2학기 직원 퇴임식이 열렸다. 


이날 홍숙(39년 근속), 박승애(41년 11개월 근속), 이상엽(34년 9개월 근속), 김진균(34년 6개월 근속), 최진순(38년 9개월 근속), 김덕영(42년 10개월 근속), 홍희숙(39년 11개월 근속), 김재훈(30년 6개월 근속) 선생 등 8명의 직원이 퇴임을 맞았다.


퇴임식에는 대상자에 대한 공로상 수여가 함께 이뤄졌으며, 홍숙 선생이 퇴임 직원을 대표해 그동안의 소회와 감사를 전했다.


이어 오후 3시 의양관 운제실에서는 2022학년도 2학기 교원 퇴임식이 열렸다. 퇴임식 중에는 공로상 수여가 함께 진행되었는데, 정부 포상의 경우 교육부 일정으로 인해 추후 전달할 예정이다.


이날 방대욱(컴퓨터공학·36년 11개월 근속) 교수를 비롯한 23명의 교원이 퇴임했으며, 방 교수가 퇴임 교원을 대표해 “항상 계명대 교수로서 품위를 지키고 학교를 잊지 않겠다.”라고 퇴임사를 전했다.


신일희 총장은 이날 각 퇴임식 행사에 참여해 퇴임 교직원들에게 축하와 격려를 전하며, “퇴임 이후에도 계명의 정신을 사회에 꾸준히 전파해주시리라 믿고, 밖에서도 여러분은 계명인이시니 언제든 학교를 찾아주시길 바란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퇴임교원 명단

 

연번 성명 소속 재직기간
1 김종환 영어영문학 35년 11개월
2 황재광 영어영문학 20년 11개월
3 Parker, Daniel Todd 영어영문학 12년 11개월
4 Li, Tiegen 중국어중국학 18년 11개월
5 이성환 일본어일본학 30년 11개월
6 이윤갑 사학 39년 5개월
7 황재범 기독교학 21년 11개월
8 홍성희 경제금융학 33년 11개월
9 홍승표 사회학 25년 11개월
10 김종덕 법학 22년 5개월
11 김태윤 통계학 31년 11개월
12 이창섭 화학 31년 5개월
13 방대욱 컴퓨터공학 36년 11개월
14 박용진 교통공학 30년 5개월
15 김정구 기계공학 37년 5개월
16 이부윤 기계공학 24년 11개월
17 이재천 기계공학 24년 11개월
18 이한영 신소재공학 30년 5개월
19 박원균 의예 31년 9개월
20 김정범 의학 30년 5개월
21 김기진 체육학 26년 11개월
22 이원재 사회체육학 31년11개월
23 손동환 제약학 6년 5개월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