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학교 이종문(한문교육과·교수) 교수가 ‘인각사, 삼국유사의 탄생’란 제목으로 유적답사기를 발간했다. 이에 이종문 교수를 만나 인각사에 대한 이야기와 소감을 들어봤다.
이종문 교수는 고교시절부터 삼국유사에 빠져들면서 일연스님이 마지막 생애를 보낸 인각사에 자연스레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민족 고전의 산실인 인각사에 바람이 불면 쓰러지기 직전의 상태로 방치된 모습을 보고 가슴이 아파 이 아픔을 누군가에게 전달하고 싶었습니다”라면서 유적답사기를 펴낸 계기를 밝혔다.
인각사는 경북 군위에 위치해 있다. 외관상으로는 볼거리 없는 아주 조그만 사찰에 불과하지만 고교시절 때부터 40여년간 1백번 이상을 그곳에 다녀왔다고 한다. 이 교수는 안각사에 대해 “안각사에서 일연스님은 마지막 5년을 머물면서 삼국유사를 완성했습니다. 이 사실만으로도 인각사는 우리 정신사의 상징적인 성지입니다”라고 말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답사기는 유적지에 남아있는 일반적인 설명으로만 이뤄져있지만 이 교수의 유적답사기는 인각사에 대한 변천과정과 그간 어떠한 일들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 시대에 남아있는 유물과 문헌 등을 발굴하고 복원하는 방안에 대해 다루어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됐다.
이 교수는 “인각사는 다른 유적지와 달리 볼 것은 없지만 그 속에 묻힌 이야기를 들어다보면 듣고 느낄게 풍부합니다”라고 말하면서, “10여년의 세월 동안 자연스레 모아온 사진과 문헌자료를 통해 인각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라고 전했다.
끝으로 문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해 “요즘에는 문학청년 인재가 없어 마음이 아픕니다. 취업이나 경제적인 면은 현실적인 문제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인생의 전부가 아닙니다”라면서 “학생들은 일상 속에서 독서를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는 성찰이 필요한 시기입니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이종문 교수는 지난 199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저녁밥 찾는 소리’, ‘봄날도 환한 봄날’, ‘정말 꿈틀, 하지 뭐니’ 등의 시집을 발행한 시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