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0℃
  • 구름조금강릉 16.2℃
  • 구름많음서울 14.2℃
  • 구름조금대전 11.7℃
  • 맑음대구 14.0℃
  • 구름조금울산 14.2℃
  • 맑음광주 13.8℃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0.1℃
  • 구름조금제주 15.9℃
  • 맑음강화 13.1℃
  • 구름조금보은 9.5℃
  • 맑음금산 9.5℃
  • 맑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3.2℃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학생들 무관심 속…제58대 총(부)학생회장 선거 ‘프리즘’ 선본 당선

투표율 28.4%로 역대 최저…작년 대비 절반으로 ‘뚝’

 

‘무관심·불신·코로나19’ 삼중고에 학생자치 후퇴 우려

 

 

無 관심·無 후보·無 투표

 

 

2021학년도 학생자치기구 선거는 ‘3무 선거’로 요약된다. 거듭되는 취업난 속 바람 앞 등불 같던 학생자치는 코로나19라는 보건 위기를 기점으로 뼈아픈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총학 선거는 28.4%라는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고 입후보자가 없어 선거가 무산된 단과대학은 5곳에 달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선관위)는 학생들의 투표 참여를 유도하고자 총학생회칙과 중앙선거시행세칙을 개정하여 선거 일정을 연기하고 온라인 유세를 대폭 허용하는 등 선거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지만 역부족이었다.

   

 

● 10명 중 2명이 지지해도 당선

지난해 12월 15일 실시된 제58대 총(부)학생회장 선거에 단독후보로 출마한 ‘프리즘’ 선거운동본부(정-최승호(기계공학·4), 부-이무엽(경제금융학·4), 이하 선본)가 당선됐다.

 

개표는 중선관위 위원 30명과 프리즘 선본 측 개표 참관인 8명, 본사 기자 1명이 참관한 가운데 선거 당일 22시 45분경 체육대학 B116호 웰니스관에서 진행됐다.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진행된 만큼 중선관위 위원 모두 발열 검사 후 마스크와 라텍스 장갑을 착용하고 개표를 진행했다.

 

개표 결과, 전체 유권자 1만9천422명 중 5천510명이 참여한 선거에서 프리즘 선본은 찬성 4천495표(81.6%), 반대 651표(11.8%), 무효 339표(6.15%)를 얻어 당선이 확정됐다. 프리즘 선본에 대한 찬성률은 제57대 총학(72.44%)보다 9% 가량 높았지만 찬성표를 던진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23.14%에 그쳤다. 유권자 10명 중 2명의 지지로 총학생회가 꾸려진 것이다.

 

최종 투표율은 28.4%로 역대 최저치였다. 제57대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 55.72%에 비해 무려 27.32%p 하락한 것인데, 경북대, 영남대 등 인근 대학처럼 ‘최소 투표율 50%’를 기준으로 개표 여부를 결정했다면 선거 자체가 무효화 됐을 만큼 낮은 투표율이다. 우리학교 총학생회 선거 투표율은 1985년 학도호국단이 총학생회로 환원된 이후 줄곧 40~60% 사이를 유지해왔다.

 

 

● 단대 학생회장 다섯 곳이 ‘공석’

같은 날 실시된 단과대학 학생회장 선거에서는 간호대학에 김수현(간호학·3), 경영대학에 서영국(경영학·4), 공과대학에 이상훈(신소재공학·4), 사범대학에 이성근(영어교육·4), 사회과학대학에 조승현(국제통상학·4), 약학대학에 이선미(약학·3), 음악공연예술대학에 신황석(관현악·4), 인문국제학대학에 전천후(일본어문학·4), 의과대학에 지민규(의학·3), 체육대학에 박종성(체육학·4) 후보가 각각 당선됐다.

 

체육대학 박종성 학생회장은 “체육대학 학생회장에 당선되어 자랑스럽다”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어려운 점이 많지만 학생 여러분들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체육대학 학생회가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제58대 총대의원회 의장에는 이기범(신소재공학·4) 씨가, 제39대 총(부)동아리연합회장에는 안민기(중국어문학·4), 전종만(전자공학·3) 씨가 당선됐다.

▶ 다음 링크에서 이어짐: http://gokmu.com/news/article.html?no=15745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