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19.5℃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20.8℃
  • 구름많음대전 21.6℃
  • 구름많음대구 16.9℃
  • 맑음울산 12.1℃
  • 구름많음광주 19.8℃
  • 구름많음부산 13.3℃
  • 구름많음고창 19.4℃
  • 흐림제주 19.4℃
  • 구름많음강화 18.1℃
  • 구름많음보은 17.8℃
  • 구름많음금산 18.5℃
  • 구름많음강진군 16.6℃
  • 맑음경주시 13.5℃
  • 구름많음거제 13.6℃
기상청 제공

연구윤리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달 21일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학술진흥재단(이하 학진)은 전국 대학 산학협력단장 및 교무처장, 각 대학 교수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의 연구업적정보와 실시간 연계할 수 있는 표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학진은 이 설명회에서 현재 학진이 보유하고 있는 국내와 해외의 학술 논문정보 및 특허정보에 대한 “연구업적 자동검증시스템”을 올해 안에 개발하여 전국의 대학에 보급할 계획임을 밝혔다. 학진의 이러한 계획은 최근 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교수들의 연구윤리 문제를 부분적으로나마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발판이 된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연구업적 특히 논문과 관련된 교수들의 일그러진 모습이 상아탑 밖 일반 사회에서까지 커다란 물의를 빚게 된 것은 참으로 개탄할 일이다. 어떤 교수는 행정적으로 크게 출세한 뒤에 자신이 과거에 쓴 논문에 대한 표절 의혹을 받았고, 어떤 교수는 국가적 차원에서 추앙을 받을 정도로 인기를 누리다가 위조한 논문 때문에 성공의 정점에서 엄청난 충격을 주며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우리는 보았다. 또 바로 지난달에는 모 대학 총장의 논문 표절 의혹 사건이 온 나라를 시끄럽게 하였다.

새 학기가 시작되는 마당에 이렇게 지겹고도 부끄러운 문제를 꺼내는 이유는 첫째, 이것이야말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의 학문적 생명과 권위에 관련된 것이고 둘째, 이런 일련의 사건이 교수들로 하여금 스스로의 연구 자세에 대한 냉정한 반성의 계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물의를 빚은 분들은 교수집단의 일원이고, 따라서 연구업적과 관련하여 학계와 일반 사회에 비친 그들의 모습은 곧 한국 교수들의 자화상이라고 한다면 지나친 말일까?

두말할 것도 없이, 학문적 연구의 질(質)은 연구자의 자발적인 탐구심에서 나오고, 질의 지속적 확보는 연구자 개인의 지적 정직성(intellectual integrity)에서 나온다. 학자의 소중한 업적은 학문적 윤리성이 뒷받침될 때 빛을 발하는 것이다. 논문 표절이나 중복 게재 의혹에 휘말린 당사자가 ‘관행’이었다고 변명하는 현실을 보면서, 우리 대학 사회의 연구 윤리가 얼마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영리를 목표로 하는 기업들도 ‘정직’을 강조하는 마당이 아닌가? 모든 교수들에게 적용되는 구체적인 연구윤리 지침이 하루 빨리 마련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