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만 되면 ‘공천’을 둘러싼 의혹은 끊이지 않는다. 특별당비납부, 학력 경력 위조 혐의의 의혹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비례대표에 정해진 것은 도무지 납득이 가질 않는다.
비례대표라는 것은 전문성, 다양성, 약자 배려의 취지에서 정치에 새바람을 불어 넣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정당의 득표수에 따라서 비례대표의 수가 정해지는 것은 사실이나, 사회전반을 대표하는 사람들을 선발한다는 점에서는 지역구 공천보다 더욱 신중을 기울여야 할 문제이다.
친박연대의 양정례 비례대표와 창조한국당의 이한정 비례대표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심정은 침통하기 짝이 없다. 공천 헌금의 액수에 비례해서 비례대표를 정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든다. 국민의 깨끗한 한 표를 바란다던 정당과 후보자들이 왜 깨끗한 공천심사를 하지 못 하는가?
밀실에서 공천한다는 지금의 의혹을 떨쳐버리기 위해서 당지도부들은 공천과정을 국민이 알 수 있게 관련 사항들을 공개해야 한다. 또한 지금처럼 소수의 인사들이 쥐고 있는 공천권 아래에서는 전문성, 다양성, 약자 배려라는 비레대표제도의 취지를 살릴 수가 없다.
비례대표선발과정에서 당내 인사는 물론 사회의 전문가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어야 한다. 나아가 선거에서 이기고 당의 세력 불리기에만 급급한 정치인들의 자세 역시 변화해야 할 것이다. 한 나라의 국민 모두가 함께 잘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정치인 것이다.
‘비리대표’, ‘비밀대표’라는 신조어가 판치는 이 시점에서 이번 일을 빨리 은폐할 생각만 하지 말고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최대한 잘 살릴 수 있는 후보검증을 통한 공천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