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4.0℃
  • 흐림강릉 0.2℃
  • 흐림서울 -3.5℃
  • 대전 -4.2℃
  • 흐림대구 1.9℃
  • 흐림울산 3.8℃
  • 흐림광주 0.0℃
  • 흐림부산 3.2℃
  • 흐림고창 -0.2℃
  • 구름많음제주 8.0℃
  • 흐림강화 -4.1℃
  • 흐림보은 -4.4℃
  • 흐림금산 -1.8℃
  • 흐림강진군 2.7℃
  • 흐림경주시 3.2℃
  • 흐림거제 3.6℃
기상청 제공

[1156호 독자마당] 변화 중인 우리, 그리고 중국의 여성들

‘미투 운동’, ‘페미니즘’. 곪아오던 문제들이 봇물 터지듯 터지고 있다. 조심스럽게 감춰뒀던 아픔을 하나, 둘 꺼내고 있다. 희망적인 변화의 물결이 조금씩 실감나고 있다.

우리네 명절 풍경만 보더라도 알 수 있는 남성 중심의 사회. 요리부터 설거지, 과일까지 준비해야 하는 여자들은 몸이 열 개라도 모자랄 지경이다. 그러나 반대로 중국의 가정에서는 남자가 불 앞에서 땀을 뻘뻘 흘리며 요리를 하는 것도 모자라 설거지까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현재 중국 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가사분담이 매우 자연스럽다.

모택동은 ‘동공동수’ 즉, 남녀가 똑같은 일을 하고, 똑같은 보수를 받아야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여성들은 그 시대의 지도자가 주장한 ‘평등’에 맞서 점점 자신의 자아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고 그에 걸맞은 노력들을 해 왔을 것이다. 어떤 어려움들이 있었는지는 쉬이 상상할 수 없으나, 결과적으로 현재 중국의 여성들은 당당하고 강인한 모습으로 변화해왔다.

그렇다면 이것으로 외적 평등뿐만 아니라 내적 평등까지 이루어졌다고 단정지을 수 있을까? 차이가 있겠지만, 아직까지도 남아 있는 남성 우월주의로 인해 부당한 대우를 받는 여성도 있을 것이다. 대우가 나아졌다 뿐이지 근본적으로 ‘여성’ 자체가 강해졌다는 의미가 아니다. ‘중국 여성들은 강해졌다.’라는 말을 하기에는 아직까지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강해지지는 않았지만 분명한 것은, 그들이 변화 중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여성들뿐만 아니라 많은 여성들의 사회적 능력이 상승함에 따라 그만큼 정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지만 그러나 그것에 안주하지 않고 진정한 ‘나’를 찾는 여성들이 늘어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