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0.0℃
  • 구름많음서울 14.2℃
  • 구름많음대전 17.5℃
  • 구름조금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5.7℃
  • 흐림광주 17.3℃
  • 구름조금부산 19.5℃
  • 흐림고창 14.8℃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11.4℃
  • 구름많음보은 16.5℃
  • 구름많음금산 15.4℃
  • 흐림강진군 17.8℃
  • 구름많음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6.8℃
기상청 제공

[독자마당] 불확실함과 가능성 사이에 있는 이들에게

 

우리는 매일 불확실함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종종 한 치 앞도 모른다는 표현을 들어보았을 것인데, 여기서 한 치는 약 3.03cm로 정말 작은 단위의 미래조차 우리는 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래를 알 수 없기에 우리는 불안해하며, 불안함과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미래를 약속한다. 경제적 관점에서는 미래의 환율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선물환율(forward exchange)을 예시로 들 수 있으며, 입시를 치르는 학생들에게는 특정 기업과 연계되어 취업이 보장되는 대학 학과가 인기를 끈다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이에 반해 미래를 확실하게 기약할 수 없는 주식과 비트코인 등은 위험성이 수반된다고 평가받는다.

 

그렇다면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 미래를 약속하는 방법이 과연  최선의 방법일까? 특정한 것에 대한 사람의 생각과 태도는 생각보다 더 빠르고 빈번하게 바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사람들이 불확실한 상황 끝에 최종적으로 특정한 선택을 내린 것은, 그 순간 그것이 가장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며, 이는 새로운 가능성의 시작이 된다. 그러나 약속된 미래는 현재로부터 그 시점까지의 여러 가지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저버린다.

 

우리는 친구 사이, 부모님과 자식 사이, 선생과 제자 사이 등에서 “열심히 해라”라는 말을 일방적으로 듣거나 서로 듣고 말해왔다. “열심히 한다”라는 것은 같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응원은 미래의 가능성을 위한 ‘확률’을 높이는 것을 응원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결국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확률을 높이기 위해 우리가 할 일은 각자 할 일을 열심히 해내는 것인 셈이다. 그리고 그것이 쌓일 때, 우리에게 언젠가 마주할 새로운 가능성을 받아들일 힘이 생긴다. 나는 이 글을 통해 사람들이 각자의 가능성에 대해 느끼는 불안함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