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1.0℃
  • 구름많음강릉 24.5℃
  • 구름많음서울 22.2℃
  • 구름많음대전 22.8℃
  • 구름많음대구 22.6℃
  • 구름많음울산 17.8℃
  • 흐림광주 21.7℃
  • 구름많음부산 18.2℃
  • 구름많음고창 21.7℃
  • 흐림제주 19.1℃
  • 구름많음강화 16.6℃
  • 흐림보은 21.9℃
  • 구름많음금산 21.1℃
  • 흐림강진군 20.0℃
  • 구름많음경주시 20.7℃
  • 구름많음거제 19.2℃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독자마당]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에게

‘왕릉 아파트’ 문제가 연일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김포 장릉 인근에 건설 중이던 어느 아파트 단지가 알고 보니 문화재보호법을 어긴 ‘불법 건축물’로 뒤늦게 밝혀지면서, 문화재 보호와 재산권 보호라는 가치가 충돌하게 된 것이다. 김포 장릉은 지난 2009년 다른 조선 왕릉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유네스코는 장릉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는 조건으로 그 경관을 보존할 것을 요구했는데, 아파트가 경관을 훼손한 탓에 자칫 세계문화유산 지정이 취소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문화재청은 부랴부랴 문화재보호법에 저촉되는 아파트에 대해 공사 중지 명령을 내렸지만 건설사와 입주민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산 사람보다 죽은 왕이 중하냐”라는 반론이 대표적이다. 문화재로 인해 건설 중이던 아파트를 철거해야 한다면 입주민들의 재산권이 침해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입주민들의 반응이 이해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우리 헌법은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고, 수천 세대가 입주할 예정인 아파트를 아무런 대책 없이 철거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런데 이 촌극의 와중에 그간 우리가 못 본 척 지나쳤던 어떤 ‘산 사람’들이 떠오른다.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거리로 밀려나는 철거민 말이다.

 

88올림픽은 우리의 고도성장 신화를 자축하는 동시에, ‘민주화된 대한민국’을 세계 만방에 선보이는 국가적 축제였다. 온 나라가 잔치 분위기로 떠들썩할 때, 정부는 ‘판자촌’이 외국인들의 눈에 들어간다면 수치스럽다는 이유만으로 상계동에 있던 200여 가구를 철거하려 했다. 주민들은 거세게 저항했지만 결국 철거 작업은 완료됐다. 그렇게 ‘환경정비’를 명목으로 누군가의 삶의 터전을 짓밟음으로써, 우리는 외국인들에게 부끄럽지 않아도 되었던 것이다.

 

다시 왕릉 아파트 논란을 본다. 죽은 왕보다 산 사람이 귀하다는 건 두말할 나위 없이 진실이다. 그러나 “산 사람이 귀하다”는 말은 “‘어떤 산 사람’만 귀하다”는 말로 수정되어야 한다. 모든 사람이 귀하다면 88년의 상계동 사람들, 나아가 꿋꿋하게 자신의 삶을 이어갔을 어떤 존재들의 비참을 어떻게 설명해야 한다는 말인가. 사실 우리는 ‘가진 사람’의 목숨이 중요한 것이지 ‘산 사람’ 따위는 아무래도 좋은 게 아닌가. 그렇게 하면 우리는 ‘떳떳’할 수 있는가.

 

어찌됐건 신축 아파트에 들어갈 여력이 있는 이들은 어떻게든 살아갈 것이다. 아파트가 철거되든, 심지어 왕릉이 철거되어도 일이야 순리대로 흐를 것이다. 그러니 부디 죽은 왕이 아니라 ‘산 사람’들을 위해 살았으면 한다. 가진 사람들만의 세상이 아니라 살아있는 모든 사람들, 분명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는 약자들도 “산 사람이 귀하다”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