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8℃
  • 구름조금강릉 7.1℃
  • 서울 3.0℃
  • 구름많음대전 5.8℃
  • 구름많음대구 7.0℃
  • 맑음울산 7.1℃
  • 흐림광주 7.1℃
  • 맑음부산 7.9℃
  • 흐림고창 6.5℃
  • 구름많음제주 10.1℃
  • 구름많음강화 2.2℃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5.8℃
  • 흐림강진군 7.6℃
  • 구름조금경주시 7.2℃
  • 구름조금거제 8.0℃
기상청 제공

심리학을 느끼다.

나는 고등학교 때부터 심리학과에 가고 싶었다. 그래서 심리 관련 서적도 읽고 인터넷 검색도 많이 해봤다. 나는 내가 심리학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심리학과 수업 중에 보고서를 읽게 된 나는 새삼스레 심리학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 보고서는 타 대학 심리학과 학생들이 경험과학으로서의 심리학에 대한 비판을 읽고 반론을 제기하는 내용의 글이었다. 이전의 심리학과 현재의 심리학 그리고 미래의 심리학이 모여 만들어지는 지적 연결고리에 심리학과 학생으로서 동참해야 함과 그 지적인 활동에서 과학적 업적을 꼭 못 이루더라도 이전의 학자들과 뒤를 이을 학자들이 하나가 되어 무지를 앎으로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그 글을 읽는데 다른 학교 학생들은 심리학을 배우는 학생으로서의 자부심은 물론이고, 심리학의 비판에 자신 있게 반론을 제기할 만큼 심리학에 대해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다. 내가 그 글 속에서 보았던 그들은 심리학에 대한 열정과 사랑으로 꽉 차 있었고, 전공분야에서 어떤 일을 하던지 겁먹거나 의심치 않고 도전하는 자들이었으며, 심리학을 배우는 자신의 뚜렷한 책임을 가슴에 품고 있었다.

나는 보고서를 읽는 내내 내 자신이 부끄럽고 참 무지하다는 생각을 했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심리학 수업을 들으면서 그 본질과 학문으로서의 심리에 대한 깊이 생각해 본적이 없고, 심리학에 대해 비판 또한 해본 적 없이 다만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불러주시는 시험출제문제에만 집중했었고, 오직 A+을 받기위해 심리학 공부에 전념하던 내 모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꼭 심리학이 아니더라도 내 자신의 전공에 대해 심념(深念)하지 않고, 시험문제에 연연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을 거라 생각한다. 이 솜씨 없는 글을 보게 된다면 우리가 단지 시험공부를 하기 위한 취업을 위한 심리학만이 아닌, 학문으로서의 심리학과 그 본질과 그것을 배우는 자세에 대해서 한번쯤은 마음으로 느끼고 다질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