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8.6℃
  • 구름많음강릉 15.6℃
  • 박무서울 12.0℃
  • 구름많음대전 10.3℃
  • 흐림대구 9.2℃
  • 구름많음울산 12.9℃
  • 구름조금광주 10.9℃
  • 흐림부산 15.5℃
  • 구름많음고창 9.0℃
  • 구름조금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11.4℃
  • 구름많음보은 7.4℃
  • 구름많음금산 7.6℃
  • 구름조금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8.3℃
  • 구름많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1139호 독자마당] 과제의 늪


친구들은 떠들다 말고 “시험 공부를 해야한다.”며 나를 도서관으로 끌고 가려 했다. 나는 벌써부터 시험 스트레스를 받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친구들의 제안을 한사코 거절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니, 시험은 둘째 치고 당장 과제 마감이 내일이었다.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는 말은 이럴 때 하는 말이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