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0.5℃
  • 맑음강릉 27.9℃
  • 구름조금서울 22.7℃
  • 구름많음대전 23.1℃
  • 구름많음대구 24.7℃
  • 구름많음울산 22.7℃
  • 흐림광주 22.6℃
  • 박무부산 21.1℃
  • 흐림고창 22.5℃
  • 흐림제주 22.1℃
  • 구름많음강화 19.2℃
  • 구름많음보은 21.0℃
  • 구름많음금산 20.9℃
  • 구름많음강진군 21.4℃
  • 구름많음경주시 23.3℃
  • 흐림거제 21.0℃
기상청 제공

청년들 첫 직장 1년4개월 만에 그만둬(종합)


실버 취업자 90%는 "계속 일하고 싶다"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박수윤 기자 = 청년들이 어렵게 들어간 첫 직장을 평균 1년4개월 만에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개 근로여건에 대한 불만 때문이다.

고령자 취업자의 90%는 계속해서 일하고 싶어했다.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통계청은 청년층(15~29세)과 고령층(55~79세)을 대상으로 지난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의 부가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청년, 임금 받고 다닌 첫 직장 1년4개월 만에 관둬

다니던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청년들이 임금을 받는 첫 직장에 들어가고서 그만두기까지 걸린 시간은 1년4개월이었다.

첫 일자리가 현 직장인 경우까지 포함하더라도 청년들의 첫 직장 평균근속기간은 1년7개월로, 지난해 조사 때보다 1개월 줄었다.

이들의 첫 일자리 가운데 85.2%는 전일제였다. 시간제는 11.6%에 불과했다. 계약여부별로 보면 62.6%가 계약기간이 정해진 것은 아니나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직장이었다.

첫 일자리를 떠난 이유로 청년들은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44.0%)을 가장 많이 들었다. 1년 전보다 그 비중이 1.7%포인트 증가했다.

이어 '건강, 육아, 결혼 등 개인ㆍ가족적인 이유'(18.0%), '전공, 지식, 기술, 적성 등이 맞지 않음'(8.8%) 등의 순이었다.

청년들이 임금을 받는 첫 일자리를 구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11개월이었다. 지난해 조사 때와 변동이 없었다.

소요기간별로는 3개월 미만이 52.3%, 3개월 이상~6개월 미만이 14.4%였다.

졸업ㆍ중퇴한 청년 취업자가 일자리를 구하게 된 경로는 주로 '신문, 잡지, 인터넷 등 응모'(28.4%), '공개시험'(20.9%), '가족ㆍ친지 소개'(20.5%) 등을 통해서였다.

자영업 등을 포함해 청년층의 첫 일자리를 산업별로 보면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40.5%), 도소매ㆍ음식숙박업(26.0%), 광업ㆍ제조업(17.6%) 순이었다.

남자는 광업ㆍ제조업 비중이 24.8%로 여자보다 12.6%포인트 높았고, 여자는 절반 남짓이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업(51.1%)에서 일했다.

직업별로는 서비스ㆍ판매종사자(29.0%), 관리자ㆍ전문가(25.6%), 사무종사자(25.5%)의 비중이 높았다.

3년제 이하 대학을 다닌 청년층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1개월, 4년제는 5년3개월이었다. 1년 전과 같았다. 남자는 5년3개월, 여자는 3년4개월이었다.

청년층 대졸자의 42.7%가 휴학 경험이 있었다. 그 비중이 지난해 조사 때보다 0.3%포인트 낮아졌다.

남자의 78.8%가 대학 재학 중 휴학했다. 그 사유로 병역의무 이행(95.8%)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여자는 19.8%만 휴학했다. 이들은 대개 '취업 및 자격시험 준비'(47.9%)나 '어학연수 및 인턴 등 현장경험'(32.4%) 때문에 학교를 쉬었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56만 9천 명으로 그 비중이 지난해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는 일반직 공무원(28.7%), 기능분야 및 기타(24.4%), 일반 기업체(22.4%) 순이었다.

지난해 조사 때와 비교했을 때 일반기업체가 1.8%포인트 올랐지만 일반직 공무원과 기능분야 및 기타는 각각 1.1%포인트, 3.4%포인트 내렸다.

언론사ㆍ공영기업체 시험을 준비한다는 이들은 지난해 5.0%에서 올해 6.3%로 1.3%포인트 상승했다.

◇고령층 취업자 90% "계속 일하고 싶다"

고령층 취업자의 90%는 생계비 마련 등을 위해 앞으로도 계속 일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월 현재 55~79세인 고령층의 취업자 수는 549만 6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8%(44만 5천 명) 증가했다.

고령층의 고용률은 52.3%로 1.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일자리에서 은퇴할 나이인 65~79세의 고용률은 37.4%로 1.7%포인트 올랐다.

전체 고령자의 59.0%는 장래에 일하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현재 취업자인 고령자 549만 6천 명 중 90.2%가 계속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그 이유는 '생활비에 보태려고'가 49.4%로 절반을 차지했고 '일하는 즐거움 때문에'는 34.3%였다.

고령층이 가장 오래 일한 일자리에서 떠난 연령은 평균 53세였다. 연령대별로는 50대에 관둔 이가 43.2%, 60대가 24.0%였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이 19년7개월인 것을 고려하면 고령자들은 일단 50대가 넘으면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됐다.

구직경로는 대부분 `친구ㆍ친지의 소개 및 부탁'(41.8%)이었다. 고용노동부와 기타 공공직업알선기관을 통한 구직은 25.9%였다.

교육 정도별 일자리 선택 기준을 보면 고졸은 '임금수준'(30.5%)을, 대졸 이상은 '일의 내용'(20.9%)을 먼저 고려했다.

고령층이 원하는 임금 수준은 월평균 100만 원 이상~150만 원 미만(33.1%), 월평균 15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25.7%)이 대부분이었다.

고령층의 45.8%는 지난 1년간 연금을 받은 적이 있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수령액은 38만 원이다. 50만 원 미만을 받는 수령자가 82.8%로 절대다수였다. 150만 원 이상 연금을 받는 이는 7.2%였다.

고령층 취업자의 직업 비중은 단순노무종사자(27.5%), 농림어업숙련종사자(20.5%), 기능ㆍ기계조작종사자(19.6%) 순으로 컸다. 관리자ㆍ전문가는 8.7%로 가장 비중이 작았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