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2.1℃
  • 구름많음강릉 20.7℃
  • 흐림서울 22.8℃
  • 흐림대전 23.6℃
  • 흐림대구 24.4℃
  • 흐림울산 22.0℃
  • 흐림광주 23.4℃
  • 흐림부산 20.8℃
  • 흐림고창 22.9℃
  • 흐림제주 20.1℃
  • 구름많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2.5℃
  • 구름많음금산 23.4℃
  • 흐림강진군 20.8℃
  • 구름많음경주시 25.9℃
  • 구름많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HTTPS 차단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정책에 대한 국민적 합의 부재가 낳은 오해와 논란

지난 2월 정부가 HTTPS 차단 정책을 시행하자, 청와대 국민청원에 25만명 이상이 반대 서명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일었다. 불법 사이트 차단이야 이미 과거에도 있던 것인데 왜 새삼스레 이렇게 이슈가 되는 것일까? 그 원인으로 필자는 정부의 소통 부족, 언론의 전문성 결여, 그리고 공론화를 통한 합의 과정의 부재를 꼽고 싶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과정은 전화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전화할 때 우리는 우선 전화번호부나 114를 통해 상대의 전화번호를 알아낸 후, 해당 번호를 누르면 교환원이 전화를 연결해 주는 과정을 거친다. 인터넷도 이와 유사해서 우리가 웹브라우저 창에 ‘www.korea.ac.kr’과 같은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웹브라우저는 인터넷상에서 114와 같은 역할을 해주는 DNS(Domain Name Server)에 해당 도메인 네임의 주소(일명, IP주소)를 문의한다. 이어 DNS로부터 ‘163.152.100.100’와 같은 IP주소를 수신한 웹 브라우저는 다시 KT나 LG U+ 등과 같은 국내 인터넷서비스 제공 사업자(ISP)에게 해당 주소로의 연결을 요청하고, 그러면 요청을 받은 사업자는 해당 IP주소를 가진 홈페이지에 연결시켜 준다.
 
과거 우리 정부가 쓰던 방식은 ‘DNS 차단방식’으로, DNS에 주소를 문의하는 과정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이 불법 사이트 목록에 등재된 것이라면 실제 IP주소가 아닌 엉뚱한 주소(예를 들면 warning.or.kr의 IP주소)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러자 네티즌들은 국내 ISP들이 운영하는 조작된 DNS가 아닌 구글과 같은 해외 업체에서 제공하는 온전한 DNS를 이용해 정부의 차단을 우회하기 시작했다.
 
이래서 등장한 것이 ‘HTTP 차단방식’이다. 이는 DNS로부터 IP주소를 수신한 웹브라우저가 국내 ISP에게 해당 주소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순간, 이것이 불법 사이트 목록에 있는 것일 경우 차단하는 방식이다. 그러자 불법 사이트들은 HTTPS라는 암호화 접속을 이용해 이를 무력화했다. HTTPS란 ‘HTTP Secure’의 줄임말로 이를 이용할 경우 웹브라우저와 홈페이지 사이의 모든 통신 내용이 암호화돼, ISP는 사용자의 웹브라우저가 어느 주소로 연결되는지 알 수 없게 된다.
 
이러한 HTTPS를 이용한 우회를 막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이번에 논란이 된 ‘HTTPS 차단(또는 SNI 차단) 방식’이다. 사실 암호화 통신을 하겠다고 해서 곧바로 이를 개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암호화 통신을 하려면 사전에 쌍방이 서로 어떤 암호방식을 쓸지 또 어떤 비밀번호를 이용할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이를 환경설정이라고 하는데 HTTPS도 마찬가지다. HTTPS 암호화 통신을 하려면 사용자의 웹브라우저와 홈페이지는 앞서 언급한 환경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SNI라는 영역에 순간적으로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주소가 노출되는 약점이 있다. HTTPS 차단이란 바로 이 정보를 이용해 불법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 과거의 DNS 차단이건 지금의 HTTPS 차단이건 간에 ISP가 접속하려는 홈페이지의 주소를 보고 정부의 목록과 비교해 차단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큰 차이는 없다. 혹자는 HTTPS 차단 방식을 중국 정부 등이 시행하고 있는 DPI(Deep Packet Inspection)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이는 인터넷을 통해 오가는 데이터의 내용까지 들여다보는 것으로, 단순히 편지 봉투에 적힌 주소가 아닌 봉투를 뜯어 그 내용물까지 읽고 검열한다는 점에서 우리 방식과는 큰 차이가 있다.
 
이번 논란을 보며 필자가 아쉬운 것은 정부의 소통이 너무나도 부족했다는 것이다. 아무리 과거에 해왔던 방식들과 유사하다 하더라도 이를 국민에게 이해시키고 공론화 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고 결국에는 여러 오해와 소모적인 논쟁까지 과도하게 촉발시켰다는 점에서 정부는 일차적인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또한 언론의 전문성 결여 및 공정한 토론의 장 마련 실패 또한 짚어볼 문제이다. 비록 정부의 설명이 부실했다고는 하나, 언론은 정확한 해설 기사를 싣고 국민의 이해를 도울 의무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의 경우 초기 유튜브 등에서 떠도는 잘못된 기술 설명을 확인도 않고 그대로 전달해 대중의 오해를 증폭시킨 책임이 없지 않다.
더욱이 불과 일 년여 전만 하더라도 각종 언론들은 텀블러 등 외국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음란물 유포가 늘고 있다며, 정부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질타했었다. 언론이 상황에 따라 자신의 구미에만 맞는 편향적 보도 행태를 보인다면, 이는 국민들로 하여금 왜곡된 시각을 갖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객관적인 공론화 과정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
 
인터넷은 사익과 공익이 공존하는 공간이며, 하나의 정답을 내리기가 매우 어렵다.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에게 맞는 올바른 인터넷 정책은 무엇인지 정부와 국민 모두가 함께 고민해 나가야 하겠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