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7.1℃
  • 구름조금강릉 24.4℃
  • 맑음서울 18.0℃
  • 맑음대전 18.6℃
  • 맑음대구 22.4℃
  • 구름조금울산 16.4℃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6.0℃
  • 맑음고창 14.9℃
  • 맑음제주 16.4℃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6.8℃
  • 맑음금산 16.5℃
  • 맑음강진군 17.1℃
  • 구름조금경주시 19.0℃
  • 맑음거제 16.4℃
기상청 제공

올해 장마 29년만에 최장 기록

"얼마나 오래갈지는 태풍에 달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 올여름 장마가 29년 만에 가장 긴 장마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제주도 지방은 지난 6월21일부터 시작된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약한 비가 내려 장마 기간은 무려 44일째를 기록했다.

4일에도 제주와 남부지방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장마 기간은 최소 45일은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1980년 제주와 남부지방이 각각 46일(6월 16일∼7월 31일)과 45일(6월 16일∼7월 30일)을 기록한 이래 최장 기록이다.

기상청이 1973년부터 장마 기간을 계산한 이후로 이처럼 긴 장마는 1974년(46일)과 1980년 두 차례밖에 없었다.

올해 장마가 예년처럼 7월 중하순에 끝나지 않은 원인은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활동해 북태평양 고기압의 북상을 막은 데 있다고 기상청은 분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예년 같으면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뒤덮어 무더위가 이어졌는데 오호츠크해 고기압 세력에 밀려 올라오지 못하면서 장마전선을 오래 활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올해 장마가 신기록을 세울 가능성은 현재 필리핀 해상에 있는 열대 저압부의 발달 상황에 달렸다고 내다봤다.

기상청 관계자는 "열대 저압부가 태풍이 돼 북상하면 그 진로에 따라 우리나라가 영향을 받는다"며 "장마가 얼마나 오래 갈지는 태풍에 달렸다"고 말했다.

jangje@yna.co.kr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