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저명인사를 조사할 때 쓸 특별조사실을 최근 신설해 앞으로 수사 행보가 주목된다.
22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최근 새롭게 입주한 청사 북관 건물 7층에 특별조사실을 꾸렸다.
이 조사실은 중요 인물의 소환 조사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책상, 의자 등 비품 외에 소파와 침대 등도 갖췄다.
특수수사과는 새 사무실에 특별조사실 외에도 첨단 진술녹화 시설을 완비한 12개의 조사실도 완비했다.
또, 최근 정원(30명)의 3분의 1 이상을 신규 수사인력으로 교체하는 등 수사팀의 물갈이 작업도 마무리했다.
경찰 관계자는 "여러 번 소환하는 것이 어려운 중요 인물을 조사해야 할 때 될 수 있으면 소환 횟수를 줄이고 장시간 집중적인 조사를 하고자 침대 등을 갖춘 특별조사실을 만들었다"라고 말했다.
고위공직자 부패나 대기업 비리 등에 연루된 인사들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 때 사회적 이목이 쏠리면서 당사자들의 잦은 소환 조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고려해 특별조사실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검찰의 특별조사실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11층에 있다.
이곳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롯해 노태우 전 대통령, 신승남 전 검찰총장 등 고위급 인사들이 다녀갔다.
서울중앙지검 11층 특별조사실에서도 `최규선 게이트'에 연루된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홍걸씨가 조사받았지만 2002년 강력부의 피의자 사망사건 이후 폐지됐다.
이로써 특별조사실을 운영하는 국내 수사 기관은 대검 중수부와 경찰청 특수수사과밖에 없다.
경찰청 특별수사과가 최근 새로운 사무실로 이전한 데다 인력 정비까지 마무리하는 등 사정수사 준비 태세를 갖췄다는 점에서 특별조사실을 바라보는 외부의 시각이 범상치 않다.
경찰이 수년 전 검찰과 수사권 조정 문제를 놓고 치열한 힘겨루기를 할 때부터 특별조사실 신설 방안이 추진된데다 최근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검찰의 사정 기능이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동안 검찰의 전유물이나 다름없었던 권력형 부정부패 수사에 경찰도 본격적으로 뛰어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경찰이 수사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조직의 위상을 높이고자 특별조사실을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그러나 경찰은 "최근 하드웨어에 수사 인력까지 확충했으니 조만간 특수수사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지만, 검찰과 힘겨루기 차원에서 특수조사실을 만든 것은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bana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