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여성과 가족, 그 모순된 공존

'여성가족청소년부'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여성가족부가 국가청소년위원회를 통합해 ‘여성가족청소년부(가칭)’로 통합 출범을 준비중이다.


그러나 이런 통합 움직임에 대해 청소년 지도자들의 반발은 물론 ‘여성계’에서도 전문성과 효율성 약화를 우려하며 반대가 거세다. 실은 여성부가 여성가족부로 명칭을 변경할 때부터, 아니 업무를 전환할 때부터 이 부처에 대한 정체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여성가족부’라는 명칭부터가 실로 모순되기 이를 데 없다. 여성운동의 선각자들이 그토록 여성으로부터 분리해내고자 애썼던 ‘가족’을, 21세기의 대한민국 여성부는 전면에 내세웠기 때문이다.

우려했던 대로, 여성가족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업무의 방향은 바뀌었다. 이 부처는 이제 ‘양성평등’이나 여성 인권 문제보다는, 가정 내에서 여성이 조화를 이루며 행복하고 평등한 가정을 꾸리는 것을 이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미래, 나아가 인류의 미래를 바꾼 마가렛 생어(Margaret Sanger, 1883~1966)의 산아제한운동은, ‘어머니가 되지 않을 권리’야말로 여성 인권의 출발임을 알렸다. 어머니 되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서 여성은 비로소 집 밖의 세상에 동참할 수 있었다.


현재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의 최우선 과제는 출산장려정책이다. 왜 아이를 낳지 않는지 뻔히 알면서도 그 사회적 모순이나 갈등과 정면으로 싸우기에는 이미 부서의 덩치가 너무 커졌고 정체성마저 뒤바뀌었다.

여성가족부 업무의 혼돈은, 여성가족부 장관이 직접 시상하는 ‘남녀평등방송상’에서도 드러난다.


수상작 명단에는 다큐멘터리 ‘출산파업, 여자들은 왜 아이를 낳지 않는가?(2004, KBS)’, ‘PD수첩-강간제를 개혁하라(2005, MBC)’ 등도 들어 있지만, 대통령상은 언제나 TV 연속극의 차지였다. ‘대장금’, ‘노란 손수건’, ‘굳세어라 금순아’ 등이 대상을 받았고, 여인수난사의 재현 혹은 선정성 논란에 휘말리기 일쑤인 KBS ‘사랑과 전쟁’도 부부간의 리얼리티를 다뤘다고 2000년 이 상을 받은 바 있다.

시류에 따라 시청률에 따라 한 회 동안에도 ‘여인잔혹사’와 양성평등 사이를 비논리적으로 왔다갔다하는 TV연속극을 금과옥조로 삼는 여성가족부의 정책 방향이, 과연 청소년 문제까지 아우르며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지 답답하고 한편 궁금하다.


예산 1조원을 넘을 통합부처의 미래를 알고 있는 이는 혹시 ‘청소년이 대거 등장하는 가족극’을 구상 중인 TV드라마 작가들뿐인 것은 아닐까?

관련기사





[기자칼럼] 렉카유튜버, 혐오가 돈이 되는 세상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고, 양방향 소통 매체인 유튜브가 한국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유튜버’는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하나의 직업이 되었다.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영상을 올리고, 시청자가 해당 영상을 클릭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을 통해 부와 명예를 획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악용하는 소위 ‘렉카유튜버’들이 등장하면서, 이들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렉카유튜버’는 특정인에게 일어난 이슈나 사건 등을 영상화하여, 해당인을 모욕하고 비난하는 유튜버다. 과거엔 사건을 전달하는 역할만 한다는 점에서 이슈유튜버로 정의됐지만, 사건에 대해 모욕과 비난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난폭운전으로 사고 현장에 달려오는 렉카(사설 견인차)와 비슷해 렉카유튜버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들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타인의 이슈를 공론화하는 과정에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된 정보를 전달해 이득을 취하려 하기 때문이다.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라도 단독으로 내용을 전달하면, 유튜버의 수익과 직결되는 조회수가 증가하고 ‘진실을 밝히는데 기여하겠다’는 후원자가 생기기도 하는 등 이들에게 경제적 이익이 발생한다. 심지어 정기로 고액을 후원하는 시청자도 심심치 않게 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