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8℃
  • 구름조금강릉 7.1℃
  • 서울 3.0℃
  • 구름많음대전 5.8℃
  • 구름많음대구 7.0℃
  • 맑음울산 7.1℃
  • 흐림광주 7.1℃
  • 맑음부산 7.9℃
  • 흐림고창 6.5℃
  • 구름많음제주 10.1℃
  • 구름많음강화 2.2℃
  • 흐림보은 5.2℃
  • 흐림금산 5.8℃
  • 흐림강진군 7.6℃
  • 구름조금경주시 7.2℃
  • 구름조금거제 8.0℃
기상청 제공

[미디어평론] 한국 야구가 정작 싸우고 있는 대상은?

승리 이면의 스포츠 응원 문화

3월초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대회가 시작되었을 때 국내에서는 이 경기가 처음 만들어진 대회라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 그만큼 국내에서는 관심이 없었다. 아니 한국 야구가 설마 이기겠냐는 마음이 더 강했다.


그럼에도 한국 야구계는 이 대회에 목을 매었다. 지난해 6년 만에야 3백만 관중을 회복하는 등 침체일로에 있었기 때문이다. 8강 이상의 성적을 낸다면 그 열기를 국내 정규리그로 이어갈 수도 있다는 생각도 있었다. 힘든 일이지만 만약 4강에 든다면 다시 국민스포츠가 된다는 소망도 일었다.


위험부담도 있었다. 만약 아시아 예선에서 탈락한다면 축구 월드컵 한파와 맞물려 자칫 최악의 구렁텅이로 빠져들지 몰랐다. 하지만 프로야구 부흥을 위한 빼어난 묘안이 없으니 WBC에 올인 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밖의 냉소와 따가운 시선은 여전했다. 세계 주류 야구에서는 한국 야구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 일본과 미국에서 상처를 받은 이종범, 이승엽은 한국 야구의 변방성을 상징했다. 이점은 역대 월드컵에서 한국 축구와 같은 처지였다.


정작 힘을 빠지게 하는 것은 국내의 관심이었다. 이점은 월드컵과는 다른 점이었다. 지난 3월 3일 도쿄돔 경기에서 한국은 대만을 첫 상대로 2대 0으로 이겼다. 그러나 국내의 언론, 미디어, 광고, 기업의 마케팅 그리고 응원 문화는 모두 독일 월드컵에 쏠려 있었다. 록 애국가 논란과 서울 광장의 대기업 컨소시엄 참여 논란은 모두 월드컵을 겨냥한 것이었다. 월드컵 상품화가 도를 지나치기도 했다. 장안의 화제, ‘꼭짓점 댄스’는 월드컵을 겨냥했을 뿐 야구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본을 예선전에서 3대 2로 이기고 파죽의 연승을 하는 가운데 결정적으로 미국을 7대 3으로 이기면서 한국야구에 대한 응원이 본격화 되었고 대한민국을 연호하게 되었다.


본래 응원은 힘이 부족하거나 기운이 빠져있는 사람에게 잘하고 힘내라는 의미에서 이루어진다. 정말 응원이 필요한 것은 야구였다.


하지만 이미 어느 정도 검증이 된 축구에만 너무 함몰되어 쏠린 현상은 우리 응원 문화를 다시 되돌아보게 했다. 이미 검증된 것에 집중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배제하는 사회적 풍토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었다. 승리 가능성에 관계없이 관심을 가져주고 응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향후 다른 비인기 종목에서도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문제다. 더 나아가 스포츠는 물론 사회 모든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