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4.7℃
  • 맑음서울 5.5℃
  • 맑음대전 3.6℃
  • 맑음대구 2.6℃
  • 구름많음울산 4.8℃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7.1℃
  • 맑음고창 -0.9℃
  • 맑음제주 7.8℃
  • 맑음강화 0.3℃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계명대신문

[미디어평론] 한국의 '알파걸'에게 미래는 있는가?

현실의 'α'는 딸과 며느리에 대한 이중잣대


요란했다. 인류 역사상 최초로 남녀차별 의식 없는 세대가 출현했다고 전 매스컴이 호들갑이었다. 남자보다 우월하고 성취감 높은 여성 리더 집단, 그들은 이름도 화려한 ‘알파걸’이었다.

하버드 대학 아동심리학자 댄 킨들런의 책 ‘알파걸(ALPHA GIRLS)’은 사실 원산지인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 주목받는 트렌드가 되었다. 대한민국 여성가족부가 가장 뿌듯해 할 성과 중의 성과가 바로 ‘알파걸’의 탄생이 아니었던가. 각종 문화 프로그램은 앞 다퉈 이 신조어의 용어풀이와 ‘잘난’ 여학생 집단의 출현을 다뤘다. 전교회장을 맡은 여학생들은 ‘알파걸’의 모델로 긴급 소환되었다.

SBS가 봄 개편으로 신설한 정보 프로그램 ‘굿모닝 세상은 지금’ 5월 13일 방송은 1시간 동안 알파걸 신드롬을 다뤘다. 일단 ‘남학생보다 공부 잘하고, 아버지와의 유대관계가 돈독하고, 리더십 강한’ 알파걸의 특징에 부합하는 모델이 있어야 했다. 성적 우수하고 학생회장을 맡고 있는 몇몇 여고생이 초반에 등장했다. 효과적인 개념 전달을 위해 당연히 ‘남녀공학’의 여학생이어야 했다.

이 프로그램이 방송시간 대부분을 통해 ‘알파걸’의 증거로 제시한 집단은 사법연수원의 여성합격자들이었다. 기획의도 자체가 어불성설이었다. 한국에서 ‘걸(girl)’은 20대 후반, 30대 초반을 가리키는 용어로 변질된 것일까? 대학을 졸업하고 몇 년씩 고시생 시절을 견뎌낸 예비법조인 집단에서 ‘알파걸’을 찾을 만큼, 우리 사회는 이 신조어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이다. 미국에서 10대 소녀들을 가리키던 신조어가 한국에서는 그저 ‘성공한 여성’으로 바뀌었다. 그 성공한 워킹우먼의 대표 사례가 사법연수생이었던 것이다. 대단히 한국적인 해석이고 표본추출이었다.

인터넷 설문을 통해 공모한 한글 이름 ‘으뜸녀’만 봐도 ‘된장녀’와 별반 다를 바 없는 한 때의 유행이라는 의심만 부채질한다. ‘아마조네스’ 류의 용어를 계속 만들어내는 남성들의 호들갑과 강박관념, ‘남성·여성이라는 의식이 아예 없는 세대’라는 거창한 수식 속에 이미 공고한 ‘남녀차별 의식’만 도드라질 뿐이다.

물론, 아버지의 독려와 든든한 후원 속에 자랐다는 ‘알파걸’은 당연히 딸 가진 모든 부모의 로망이다. 그러나 알파걸로 자란 딸이 결혼 뒤 ‘알파우먼’으로 살 수 있을지를 상상하면 암울해진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누가 ‘알파걸 며느리’를 좋아할 것인가? 그 찬사 일색의 용어풀이 중 ‘남자’를 ‘남편’으로 바꿔보면 대번에 허상은 산산조각 난다. 남편보다 뛰어나고 남편보다 돈 잘 벌고 남편·아내라는 의식이 아예 없는 ‘잘난’ 며느리들과 그들을 무조건 지지하는 남편과 시부모가 있는 결혼생활, 그 ‘α’한 일상이야말로 ‘알파걸’이 도달하지 못한 이상향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