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독자마당] 벚꽃 피는 봄이 두렵지 않기 위해

최근 각 대학들이 2021학년도 입학·편입을 마무리했다. 입학식이 대면이든 비대면이든 신·편입생들에게 대학생활은 그 자체로 설레고 두근거리는 일이다. 그러나 대학, 특히 지방대학들은 봄이 두려워진다는 다소 모순된 말을 들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경쟁률 저하 때문이다.

 

이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당장 대구 경북에 있는 주변 대학들만 보아도 신입생 충원율이 그 어느 해에 비해 부진했다는 기사가 올라오고 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망한다’는 세간의 자조를 피할 수가 없게 된 것이다. 신입생 수는 대학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그 이유는 사립대 재정의 대부분이 재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하는 구조인 것과 더불어, 3년마다 실시되는 교육부의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가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대출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당장 올해에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이 예정돼 있다. 이번 진단(8월 발표 예정)에서는 학생 충원의 비중을 높여 대학의 자체적 인원 조정을 목표로 시행된다고 한다. 올해부터 학령인구보다 대학 정원이 적은 해가 되기 때문에, 이번 진단의 파장은 그 어느 해보다 클 것이다. 이 폭풍의 직격탄을 맞은 곳이 바로 지방대, 그중에서도 특히 지방 사립대가 된다. 뼈를 깎는 노력이 있지 않고서야 수도권 대학 쏠림과 지방대학의 부진을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단순히 대학의 몰락으로 끝나지 않는다. 대학과 연계된 지역의 경제, 정치, 사회, 문화공동체가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게 얽혀, 대학을 중심으로 모여있다. 때문에 대학의 붕괴는 곧 지역사회의 몰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학교도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면 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시대가 아무리 바뀐다 해도,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는 전당이자 지성의 요람이라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 내 비리를 과감히 척결해야 한다. 폐교된 대학 대부분은 극심한 재단 비리로 문을 닫았다. 그만큼 재정의 건전화는 대학의 경쟁력을 넘어 존폐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또한 교육부의 지방대학 육성 정책에 따라야겠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학 구성원들의 쇄신일 것이다. 이는 형식과 구호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 단순히 정원을 감축하고 학과를 통폐합하는 일로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의미다. 대학은 대학 본연의 경쟁력을 확립하고, 구시대적인 악습을 혁파하여 새 출발을 하는 마음과 각오로 이 위기를 헤쳐나가야 한다. 이 난제를 풀어나갈 책임은 우리학교 모든 구성원들에게 달려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