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2.1℃
  • 구름많음강릉 20.7℃
  • 흐림서울 22.8℃
  • 흐림대전 23.6℃
  • 흐림대구 24.4℃
  • 흐림울산 22.0℃
  • 흐림광주 23.4℃
  • 흐림부산 20.8℃
  • 흐림고창 22.9℃
  • 흐림제주 20.1℃
  • 구름많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2.5℃
  • 구름많음금산 23.4℃
  • 흐림강진군 20.8℃
  • 구름많음경주시 25.9℃
  • 구름많음거제 20.8℃
기상청 제공

환자의 삶의 질 향상시킨 구강 절개 수술 기법

세계에서 세 번째로 구강 절개 갑상선암 로봇 수술 성공한 조지형 교수


지난 10월 18일 조지형(의학) 교수가 구강 절개 갑상선암 로봇 수술에 성공했다. 이 수술은 세계에서는 세 번째, 국내에서는 서울 고려대 안암병원에 이어 두 번째, 서울 외 지역에서는 최초다. 겨드랑이를 절개하거나 가슴에 구멍을 내는 방식으로 이뤄진 기존의 갑상선암 수술은 환자 재활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수술 부위에 흉터가 남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구강 절개 로봇수술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여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진 수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조지형 교수를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지역 최초’에 대한 소감
“사실 그렇게까지 대단한 일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지역 최초로 이뤄낸 성과인만큼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조지형 교수의 성과는 모든 인프라가 서울에 집중된 우리나라의 현실 속에서 지역 최초로 구강 절개 갑상선암 로봇수술에 성공한 것으로, 지역 의료계를 한층 성장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서울까지 올라가야만 받을 수 있었던 수술을 지역에서도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지역 주민의 편의성이 높아졌습니다.” 또한 조지형 교수는 해당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여러 교수님들과 간호사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의료계에 몸담으며 느낀 점
조지형 교수는 고등학생 시절 유전 공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던 중 그는 ‘유전 공학을 배우려면 의대에 지원하는 것이 낫다.’라는 형의 충고에 따라 의대에 진학하여 의사가 되었고 지난 2008년 지역 최초로 내시경갑상선절제술을 시행하는 등 수많은 수술을 집도해왔다. 조지형 교수는 힘들었던 경험으로 내시경갑상선절제술을 시행한 지 약 1년 뒤에 있었던 내시경 수술 당시를 언급했다. “환자의 출혈이 심해서 중간에 수술 방식을 바꿔야만 했는데, 결국 수술 부위에 흉터가 남아 정말 죄송스러웠습니다.” 그렇게 많은 것을 배우면서 환자를 위하는 마음은 강해져만 갔다.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는 의사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마음을 헤아리는 의사가 될 것
암환자의 감정과 일반 환자의 감정은 결코 같을 수 없다. 조지형 교수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언제나 환자를 중심으로 한 의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는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마취를 하기 전에 환자의 손을 잡고 대화를 나눈다고 한다. “최대한 환자들을 안심시켜 그들을 편안하게 해주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그는 환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전했다. “질환의 치료는 전적으로 의사의 몫입니다. 환자는 질병을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아 행복에 이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조지형 교수가 대구 지역 의료계를 더욱 빛내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