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0.3℃
  • 맑음서울 7.7℃
  • 맑음대전 7.5℃
  • 구름조금대구 11.4℃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11.2℃
  • 맑음부산 12.1℃
  • 구름많음고창 11.4℃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강화 5.5℃
  • 맑음보은 7.9℃
  • 맑음금산 8.2℃
  • -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11.1℃
  • 맑음거제 12.1℃
기상청 제공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다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서 3등상 수상한 ‘메카닉스’팀


우리학교 ‘메카닉스’팀이 2017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에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상(3등상)을 수상했다. ‘메카닉스’팀은 이승호(기계자동차공학·4), 하종성(기계자동차공학·4), 최민석(컴퓨터공학·3), 구예진(전자공학·4), 김나영(전자공학·3) 씨로 구성된 팀이다. 청각적으로 주의가 결핍된 운전자 및 보행자를 위한 ‘헤드라이트 경보시스템’으로 주목을 받은 그들을 만나 수상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사고예방에 대한 고민, 공학과 접목되다
‘헤드라이트 경보시스템’은 이승호 씨와 하종성 씨가 자동차전장설계 수업을 들으면서 만들어낸 아이디어다. 이후 캡스톤 디자인으로 연구를 이어가 빛을 보게 되었다. ‘헤드라이트 경보시스템’은 경적기를 일정 시간 이상 누르게 되면 경적소리와 함께 헤드라이트가 동시에 깜빡거리게 되어 그 불빛으로 보행자에게 경고를 주는 시스템이다. “이어폰을 꽂은 보행자들의 교통사고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희는 공학적인 측면에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짧았던 준비 기간, 큰 결과
“교수님들의 추천과 우리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 대회 출품에 대한 연락이 왔고, 예선에 통과되었을 때는 얼떨떨했어요.” 가능성을 인정받은 후 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팀원을 모집했고, 지금의 멤버가 모였다.
팀이 결성된 후 팀원들 모두 밤낮 할 것 없이 대회준비에 전념했다. “팀이 늦게 결성되었기 때문에 대회를 준비할 시간이 한 달 남짓 밖에 되지 않았어요. 예선과 본선이 맞물려 있어 추석연휴는 즐기지도 못했죠.” 수상소감에 대해서는 팀원들 모두 “여러 분야에서 공부하는 공학도들이 모여 각자의 전공지식을 활용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모두가 함께 있어서 가능했던 일입니다.”라며 입을 모았다.

준비부터 수상까지, 감사한 분들께
대회에서 수상하기까지 많은 구성원들의 관심과 도움이 있었다. “먼저 이부윤(기계자동차공학) 교수님, 김태권(기계자동차공학) 교수님, 이선봉(기계자동차공학) 교수님, 이호승(융합공학대학원·지능형자동차공학) 교수님 등 많은 교수님들께서 애정과 진심어린 조언을 주셨어요. 그리고 저희의 아이디어가 이렇게 빛날 수 있게끔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신 우리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직원선생님들, 그리고 헤드라이트 분리, 회로연결 등에 대한 설계와 제작 부분에 도움을 주신 전자공학과 석·박사 선배님들, 또 많은 관심을 보여주시며 기술 자문을 구할 수 있도록 해주신 (주)에스엘의 직원선생님들 등 많은 분들께 감사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