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20.4℃
  • 맑음서울 13.5℃
  • 구름조금대전 12.7℃
  • 맑음대구 18.6℃
  • 맑음울산 16.8℃
  • 구름많음광주 14.1℃
  • 구름많음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9.8℃
  • 구름조금제주 14.8℃
  • 맑음강화 8.9℃
  • 맑음보은 10.0℃
  • 구름많음금산 9.1℃
  • 구름조금강진군 11.5℃
  • 맑음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중국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문화상품을 기획하다

‘중국어 프레젠테이션 대회’ 은상 수상, 권수연 씨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가 주최하고, 해석 정해영 선생 장학문화재단과 도서출판 신이사가 후원한 ‘제9회 전국 대학생 중국어 프레젠테이션 대회’가 지난 11월 18일 부산외국어대학교 오디토리움에서 개최됐다. 이번 대회에서 권수연(중국학·4) 씨가 ‘중국문화 체험관’을 주제로 은상을 차지하며 개인 참가자 중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권수연 씨를 만나 대회 준비과정과 수상소감을 들어보았다.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다
‘전국 대학생 중국어 프레젠테이션 대회’는 단순한 중국어 말하기가 아닌 외국어와 실무적 프레젠테이션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려는 취지에서 매년 개최하는 대회이다. 권수연 씨는 조금의 아쉬움이 남는다는 말과 함께 “이번 대회를 추천해주신 중국학과 백수진 교수님께 감사하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우리학교 대표로 대회에 나가, 학교를 빛낸 것 같아 뿌듯합니다.”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체험관을 통해 중국문화를 접하자
‘숨은 중국 문화를 상품으로 만들어 부자 되기’가 전체 주제였던 이번 대회에서, 권수연 씨는 ‘중국 체험관 운영’을 상품으로 기획했다. “물질적,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도 중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관심을 가졌으면 해서 다양한 중국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상품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권수연 씨는 중국 전통 음식 먹어보기, 중국 소수민족 문화 접해보기 등 여러 부스로 나뉜 중국 체험관을 기획해 다양하게 중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대회는 중국어 말하기 대회가 아닌, 프레젠테이션 대회이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을 신경 써야 했다. “성조와 말의 속도를 가장 신경 써서 연습했습니다. 또한 심사위원과 관중들을 설득하고 공감을 이끌어내야 했기 때문에 시각적인 부분을 최대한 많이 이용하려 노력했습니다.” 또한 권수연 씨는 TED와 같은 유명 강연 동영상을 참고해 더욱 자연스럽게 발표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했다.

때와 장소에 맞는 통역을 위해
중국어 동시통역사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권수연 씨는 때와 장소에 맞게 말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중국어문학과를 부전공으로 수강하며 중국어에 대해 더욱 깊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시통역사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번역과 통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한국어도 깊이 있게 배우고자 합니다.” 권수연 씨는 졸업 후,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실무경험을 쌓아보고 싶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또한 우리학교 통번역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더욱 심도 깊은 공부를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