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0.2℃
  • 구름많음서울 3.4℃
  • 구름많음대전 3.3℃
  • 맑음대구 -1.2℃
  • 맑음울산 1.9℃
  • 흐림광주 3.2℃
  • 맑음부산 5.0℃
  • 흐림고창 4.6℃
  • 흐림제주 8.2℃
  • 구름많음강화 2.6℃
  • 구름많음보은 2.1℃
  • 구름많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4.6℃
  • 맑음경주시 -1.5℃
  • 맑음거제 2.7℃
기상청 제공

[기자칼럼] ‘숭례문 복원’ 우리가 해결해야 할 숙제

숭례문은 현존하는 서울의 목조건물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1962년 국보 1호로 지정됐다. 그러나 2008년 2월 10일에 화재가 발생하여 1층 문루 일부와 2층 문루 전체가 소실되었다. 화재 이후 수습 작업 및 복구를 위한 각종 연구를 진행한 후 2010년 2월 복원공사가 시작되고 지난 5월 4일, 5년 3개월 만에 숭례문은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복원되자마자 숭례문 복원과정에서 단청에 균열과 박락이 확인되는 등 부실공사의혹이 불거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훼손된 단청은 150곳 이상으로 전문가들은 박락이 심각할 정도로 진행되어 다 벗겨내고 재 단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성곽 곳곳에서 보이는 짙은 색 돌은 불에 타지 않고 남은 옛날 자재를 썼으며, 목재에 있는 옹이에 송진이 흘러나온 모습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번 숭례문 복원공사에 쓰인 목재는 모두 15만 여재이다. 이 목재들을 공사기간을 맞추려다 보니 적합한 것인지 제대로 검증을 못 했고, 그러다 보니 숭례문 복원 공사에서 부실한 목재를 사용했다. 급기야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서, 숭례문 복구 등 최근 잇따라 불거지고 있는 문화재 부실 보수 사업 논란과 관련해서 철저히 조사해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히는 지경에 이르렀다.

숭례문 복원 과정과 비슷한 사례로 일본의 금각사 복원을 들 수 있다. 화려한 금각을 자랑하던 금각사는 1950년 7월에 불타 5년 만에 복원됐다. 그러나 급히 복원한 탓에 숭례문의 단청이 떨어지듯 금박이 떨어져 나갔다. 1980년부터 2, 3차 복원 공사에 들어가 1990년, 40여년 만에 완벽한 모습을 되찾았다.

숭례문 복원공사는 온 국민의 관심 속에서 진행했다. 처음 문화재청은 “중요무형문화재 등 기술자들이 참여해 전통기법과 도구를 사용해 복원하겠다” 하겠다며 호언장담했지만 5년 3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이루어진 숭례문 복원공사는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복원 책임자들은 “예산이 부족하고 시간이 촉박했다”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변명을 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문화재청은 하루라도 빨리 문제점을 모두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난 뒤 숭례문 복원공사는 수십 년, 수백 년이 걸리더라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제대로 된 재료로 숭례문 원형에 가까운 복원공사를 해야 한다. 비단 숭례문만의 문제가 아니다. 문화재 복원과 같은 중요한 사안에 대해 보다 철저한 검증과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문화재를 제대로 복원하는 일과 사후관리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우리가 문화재를 소중하게 아끼고 보존하는 것은 후손으로서의 당연한 의무이자, 앞으로 우리의 후대에게 그대로 물려줘야 할 책임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