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7.8℃
  • 구름조금강릉 14.6℃
  • 박무서울 11.6℃
  • 맑음대전 9.1℃
  • 맑음대구 8.7℃
  • 구름많음울산 12.6℃
  • 맑음광주 10.6℃
  • 맑음부산 13.4℃
  • 구름많음고창 8.6℃
  • 맑음제주 14.3℃
  • 구름조금강화 10.8℃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6.2℃
  • -강진군 8.2℃
  • 구름많음경주시 7.5℃
  • 맑음거제 10.2℃
기상청 제공

대출금리 일제히 들썩…1.6조 이자 폭탄

주택대출금리 9개월來 최고…한달반새 0.3%P↑

신용대출.2금융권대출 금리도 급등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최현석 김호준 홍정규 기자 =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10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9개월 만에 최고수준으로 치솟았다.

최근 한달반 새 CD금리가 0.30%포인트 급등하면서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연간 1조6천억원가량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출금리 상승이 은행권 신용대출과 중기대출은 물론 제2금융권 대출 등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5.20~6.02%로 최고금리가 6%를 돌파했고 외환은행은 4.92~6.47%로 최고금리가 6.5%에 육박했다.

주간 단위로 고시금리를 변경하는 국민은행의 다음 주 주택대출 금리는 CD금리가 2.71%를 유지할 경우 4.67~6.27%로 지난주보다 0.13%포인트 상승하게 된다. 지난달 7일 이후 한 달 반 새 0.30%포인트 급등한 것으로 작년 12월 22일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은행 주택대출 금리가 급등하는 것은 SC제일은행 등 은행들의 고금리 CD발행으로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CD금리가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3개월 CD금리는 23일 현재 2.71%로 지난 9일 이후 10거래일간 0.14%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10월 24일 11거래일 연속 오른 이후 11개월 만에 최장기간 상승한 것으로 지난달 5일에 비해서는 한 달 반 새 0.30%포인트 급등했다.

CD금리 상승으로 CD금리에 연동된 신용대출과 중기대출 금리가 상승하고 은행채 등에 연동된 대출금리도 오르는 등 대출금리 인상이 전방위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이날 외환은행의 직장인신용대출인 리더스론 금리는 CD연동형이 5.93~8.43%로 지난달 6일보다 0.71%포인트 급등했으며 시장금리연동형은 5.96~8.46%로 0.65%포인트 상승했다.

7월 말 기준 532조8천458억원인 가계대출 중 약 70%, 439조7천243억원인 기업대출의 약 40%를 CD연동형으로 추정할 경우 대출금리가 0.30%포인트 상승할 때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은 연간 1조6천억원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달 105개 상호저축은행 일반자금대출(담보대출+신용대출)의 가중평균금리가 12.8% 수준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이상 오르는 등 제2금융권의 대출금리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어 서민의 이자 부담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점쳐지는 내년 1분기에 가계의 이자 부담이 6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이 가계부실을 초래하고 경기 회복세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우려되면서 금융당국은 고정금리형 대출의 비중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harrison@yna.co.kr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