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0.3℃
  • 구름조금강릉 34.7℃
  • 맑음서울 30.6℃
  • 맑음대전 30.5℃
  • 맑음대구 31.4℃
  • 맑음울산 28.9℃
  • 맑음광주 31.0℃
  • 박무부산 20.0℃
  • 맑음고창 30.3℃
  • 맑음제주 25.9℃
  • 맑음강화 25.0℃
  • 맑음보은 30.1℃
  • 맑음금산 30.4℃
  • 맑음강진군 28.4℃
  • 맑음경주시 33.1℃
  • 맑음거제 23.9℃
기상청 제공

공공기관 에너지 1등급 사용 의무화

하이브리드차 전용 주차장 설치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정부가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모든 공공기관에 대해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의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한 모든 공공기관에 경차 및 하이브리드차 전용 주차장을 설치하도록 했다.

1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국무총리 지시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의 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모든 공공기관에 연간 실적을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에너지절약에 솔선수범하고 관련 예산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어 이를 추진하게 됐다"면서 "이는 에너지 소비총량제 도입을 통한 녹색성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적 제출 기관은 재정부, 행정안전부, 서울시, 경기도 교육청 등 관리감독 75개 기관도 포함돼 있으며 각 부처 산하 모든 공기업이 해당된다.

에너지 효율 우수 공공기관으로 선정시 각종 인센티브가 부여되는 반면 실적이 미흡하면 경영평가에 반영돼 성과급과 기관장 평가 점수가 낮아질 수 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모든 공공기관은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다만 에너지효율 1등급 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차상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어 모든 공공기관은 올해까지 백열전구를 LED(발광다이오드) 제품으로 모두 교체해야 하며, 2012년까지 해당 기관의 조명기기 중 30% 이상을 LED 제품으로 바꾸도록 했다.

조명기구는 필요에 따라 부분 조명이 가능하도록 점멸 회로를 구분해 설치해야 하며, 일사광선이 들어오는 창측 전등은 부분 점멸이 가능하도록 해 에너지를 최대한 아끼도록 했다.

아울러 각 공공기관은 신축 건물의 엘리베이터 설치시 '층 선택 최소 기능'을 의무적으로 추가하도록 했다.

모든 공공기관은 업무용 승용차 구입시 경차와 하이브리드차의 구입률이 연간 50% 이상 되도록 우선적으로 구매해야 하며, 청사 주차장에 경차 및 하이브리드차 전용 주차 면적을 전체의 5% 이상 설치하도록 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관내 교통유발시설물 부설주차장에 경차 및 하이브리드차 우선 주차장 설치를 권고하고, 경차 및 하이브리드 전용 주차면은 주차장 바닥 면에 '경차 및 하이브리드'라고 표시하도록 했다.

이밖에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적정 냉난방 온도관리, 중식시간 사무기기 소등, 홍보전광판 등 옥외광고물 심야 소등, 절수형 수도설비 설치, 승용차 요일제.통근버스.카풀제, 자전거 주차장 및 전용도로 설치 등도 집중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재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공공기관의 에너지이용 합리화를 위해 예산편성지침 작성시 업무용 차량으로 경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입, 에너지절약사업에 대한 예산을 우선 지원하기로 했으며 세제 개편시 에너지 절약 및 에너지 소비구조 합리화를 위한 시책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president21@yna.co.kr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