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4.9℃
  • 구름조금서울 21.9℃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1.5℃
  • 구름조금울산 21.4℃
  • 맑음광주 21.0℃
  • 구름많음부산 19.0℃
  • 구름많음고창 21.9℃
  • 구름많음제주 17.5℃
  • 맑음강화 20.4℃
  • 맑음보은 15.9℃
  • 구름조금금산 18.1℃
  • 구름많음강진군 18.2℃
  • 맑음경주시 20.4℃
  • 구름조금거제 19.0℃
기상청 제공

OECD "한국 남녀임금 격차 가장 심해"

초산 연령은 높고 출산율은 낮아

(서울=연합뉴스) 심재훈 기자 = 한국의 남녀임금 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의 출산율은 선진국 최저 수준인 반면 초산 연령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최근 사회.노동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은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38%의 임금을 더 받아 30개 회원국 중 차별이 가장 심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OECD 평균 남녀임금격차인 18.8%에 비해 두 배 이상이다.
한국에 이어 일본의 남녀임금격차가 33%로 두 번째로 심했으며 독일(23%), 오스트리아(22%), 캐나다.영국(21%), 핀란드.스위스.미국(19%) 순이었다.

OECD는 한국의 현격한 남녀임금격차에 대해 뿌리깊은 남녀 차별 의식에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고소득, 정규직, 전문직에 많이 종사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남녀고용률 격차 또한 한국은 30%로 터키(51%), 멕시코(46%), 그리스(32%)에 이어 네 번째로 심한 국가로 분류됐다. 일본.스페인(29%), 이탈리아(28%), 룩셈부르크(26%), 아일랜드(23%), 호주(20%)가 뒤를 이었다.

재정부측은 "한국의 노동시장 구조 자체가 아직 남성 위주로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남녀 임금 및 고용률 격차가 클 수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최근 여성의 사회 전문직 진출이 늘면서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또한 여성 1명이 가임 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는 평균 1.08명으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적었다.

OECD 평균 1.64명에 비해서도 크게 뒤져 향후 인구 감소가 심각할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멕시코(2.2명), 터키(2.19명), 아이슬란드(2.08명), 미국(2.05명), 프랑스.뉴질랜드(2.0명)는 다산국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체 출산 가운데 10대 청소년의 출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한국이 3.5%로 가장 적은 반면 미국은 50.3%로 가장 많았다.

한국에 이어서는 스위스(5.1%), 덴마크(5.6%), 일본(5.7%)이 적었으며 터키(41.4%), 영국(25.9%), 뉴질랜드(24.4%)는 심각했다.

한국의 경우 혼외정사를 통한 출산이 전체 출산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로 회원국 중 가장 적었다.

이어 일본(2.0%), 그리스(5.3%) 순이었으며 아이슬란드(65.6%), 스웨덴(55.5%), 노르웨이(53.1%), 캐나다(50.8%) 등 대부분의 국가가 두자릿수를 기록해 한국과 대조를 이뤘다.

한국 여성의 초산 연령은 평균 29.1세로 뉴질랜드(30.7세), 영국(29.8세), 스위스(29.5세), 스페인(29.3세)에 이어 가장 많았다. OECD 평균 27.8세보다 1.3세가 많은 셈이다.

한국의 영유아 사망률은 5.1%로 터키(23.6%), 멕시코(18.8%), 슬로바키아(7.2%), 미국(6.8%), 폴란드(6.4%), 헝가리(6.2%)에 이어 높은 편에 속했다.

이밖에 가구당 구성원 수는 한국이 평균 3.0명으로 터키(4.1명), 멕시코(4.0%)에 이어 가장 많았다.

president21@yna.co.kr

관련기사





[교수님추천해주세요]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 캠퍼스에 낭만이 사라진 지 까마득하다고 한다. 과연 그런가? 최근의 한 조사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은 여전히 사랑ㆍ우정ㆍ사회 같은 고전적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문학이 교양소설이다. 오늘은 한국 교양소설의 고전이라 할 만한 작품을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이다. 80년대 초에 나온 이 소설은 70,80년대 한국 대학생들의 외적·내적 풍경을 여실하게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한국 대학사의 중요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영훈은 일찍이 부모님을 여의고 형에게 얹혀살면서 정상적인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지적 욕구가 강하여 닥치는 대로 책을 읽는다. 그 지력을 바탕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마침내 명문대에 들어간다. 그러나 1학년이 끝나기도 전에 깊은 회의에 빠진다. 생각했던 대학공부가 아니다. 2학년 때는 학과공부는 포기하고 문학 서클에 들어가 문학에 심취한다. 천 권의 책을 독파하고 소설이나 비평문도 거침없이 써낸다. 주위의 박수도 받고 시기도 받는다. 그러나 이것도 만족과 행복을 주지 못한다. 무엇이든 궁극적인 이유나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삶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