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3℃
  • 흐림강릉 4.1℃
  • 박무서울 0.1℃
  • 대전 0.0℃
  • 흐림대구 3.5℃
  • 흐림울산 4.3℃
  • 광주 3.6℃
  • 흐림부산 6.1℃
  • 구름많음고창 3.2℃
  • 제주 10.1℃
  • 흐림강화 -1.7℃
  • 흐림보은 0.9℃
  • 흐림금산 0.7℃
  • 흐림강진군 3.7℃
  • 흐림경주시 1.3℃
  • 구름많음거제 4.9℃
기상청 제공

우리나라 인구 2050년 641만명 감소

2018년부터 인구 감소..2050년 40%가 노령층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심재훈 기자 =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노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2018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 2050년에는 지금보다 641만명이나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또 2050년에는 한국인 10명 중 4명은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해 노령화지수도 세계 최고 수준에 달할 정도로 노령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은 오는 11일 인구의 날을 맞아 세계 및 한국 인구현황 통계를 9일 배포했다.

◇인구순위 26위서 2050년 46위로 곤두박질
올해 세계 인구는 68억2천900천만명. 중국이 19.7%인 13억4천600만명으로 1위를 차지하고, 인도(11억9천800만명), 미국(3억1천500만명), 인도네시아(2억3천만명)가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4천875만명으로 26위이며 남북한을 합한 인구는 7천265만명으로 19위다.

하지만 2050년 한국 인구는 지금보다 641만명 감소한 4천234만명으로 46위로 밀릴 것으로 예상됐다. 2050년 세계인구는 68억3천만명으로 추정되고 인도(16억1천400만명)가 중국(14억1천700만명)을 젖혀 1위에 오를 전망이다.

2009~2050년 인구 감소가 예상되는 국가나 지역은 35개 내외이며 우리나라의 감소비율은 13.1%로 18위로 예측됐다. 감소인구 수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일본(-2천550만명), 러시아(-2천478만명), 독일(-1천166만명)에 이어 네번째 국가에 올랐다.

우리나라의 인구감소는 인구성장률 둔화 탓이다. 2005~2010년 세계인구의 연평균 성장률은 1.18%이고 선진국은 0.34%, 개발도상국은 1.37%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0.30%로 선진국보다 낮고 북한 0.39%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한국의 인구성장률은 2010~2015년 0.16%, 2015~2020년 0.02%로 낮아지고 2020~2025년에는 -0.09%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전망이다. 연도별로는 2018년부터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 둔화는 무엇보다 낮은 출산율 때문이다. 저출산 대책이 시급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일례로 2005~2010년 세계의 평균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는 자녀수)은 2.56명으로 예측됐지만 한국은 1.13명으로 선진국 평균 1.64명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편 2005~2010년 세계 인구는 한해 평균 1억3천612만명이 출생하고 5천684만명이 사망해 7천928만명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 연간 44만6천명이 출생하고 26만명이 사망, 14만7천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0년 세계의 인구밀도는 ㎢당 51명이고 개도국은 68명/㎢로 선진국(23명/㎢)의 3배 수준으로 예측됐다. 우리나라 인구밀도는 490명/㎢로, 방글라데시(1천142명/㎢), 대만(637명/㎢)에 이어 3위로 기록될 전망이다.


◇ 2050년 한국인 10명 중 4명 '65세이상'
한국은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 감소, 의료산업 발달에 따른 수명 연장에 의해 고령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될 전망이다.

세계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2010년 7.6%에서 2050년 16.2%로 증가하고, 이 중 선진국은 15.9%에서 26.2%, 개도국은 5.8%에서 14.6%로 각각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 인구의 65세 이상 구성비는 2010년 11.0%에서 2050년 38.2%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80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2010년 1.9%로 선진국(4.3%)보다 낮지만 2050년에는 14.5%로 선진국(9.5%)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올해 세계인구의 중위연령(전체 인구의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의 나이)은 28.9세이고 한국은 37.3세로 북한보다 3.7세 높다. 하지만 2050년 한국 인구의 중위연령은 56.7세로 아시아(40.2세), 선진국(45.6세)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됐다.

2010년 한국의 노년 부양비(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15로 선진국(24)보다 낮으나 점차 높아져 2030년에 38로 선진국(36)을 앞지를 것으로 예측됐다. 2050년에는 72로 선진국 평균 45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10년 한국의 노령화지수(0~1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68로 선진국(97)보다 낮지만 2020년에는 126으로 선진국(117)보다 높고 2050년에는 429에 달할 전망이다.

2005~2010년 기대수명은 세계 평균이 67.6세였으나 한국은 79.1세로 1970~1975년보다 16.4세가 늘어 대륙별로 기대수명 증가폭이 가장 큰 라틴아메리카(12.5세)보다 클 것으로 예상됐다.

jbryoo@yna.co.kr
president21@yna.co.kr

관련기사





[독자마당] 봉사활동으로 채워지는 꿈 영원히 미성년에 머물러 있을 줄 알았던 내가 성년이 되었다. 봉사활동을 즐겨 하던 어린아이는 어느덧 스물두 살의 대학교 3학년이 되어 ‘청소년’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 있다. 몇 년간 봉사해 오니, 이것이 적성에 맞는 것 같다는 작은 불씨 하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진로를 향한 작은 불씨는 단순히 봉사활동으로 뿌듯함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아닌, 직업으로 삼아 다양한 연령층을 위해 복지를 지원하고, 클라이언트의 기본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큰 불씨로 번지게 되어 사회복지학과에 진학하였다. 대학교에서 한 첫 봉사활동은 학교에서 진행하는 독거노인분들께 ‘편지 작성 및 생필품 포장, 카네이션 제작’이었다. 비록 정기적인 봉사는 아니었지만, 빼곡히 적은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해 드릴 수 있었기에 뜻깊음은 배가 되었다. 하지만 조금의 아쉬움은 있었다. 봉사활동이라고 하면 직접 대상자와 소통할 줄 알았는데 해당 봉사는 대상자와 면담하지 못하고, 뒤에서 전달해 드리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봉사활동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장애아동어린이집‘에서 활동한 겨울 캠프 활동 보조일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동들이 다른 길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