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7.6℃
  • 박무서울 -1.9℃
  • 박무대전 -4.0℃
  • 박무대구 -2.3℃
  • 맑음울산 3.5℃
  • 박무광주 0.1℃
  • 맑음부산 5.0℃
  • 맑음고창 -3.7℃
  • 맑음제주 7.4℃
  • 맑음강화 -4.9℃
  • 구름조금보은 -6.3℃
  • 맑음금산 -5.9℃
  • 맑음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3.6℃
  • 맑음거제 0.9℃
기상청 제공

[문다헌에서] 자찬묘지명

국립중앙박물관에선 지난 8월 28일까지 한 달 반 동안 ‘고려묘지명’ 기획특별전이 있었다. 묘지명은 무덤의 주인공에 대한 출생, 이력, 가족관계, 벼슬과 행적 등 개인의 일대기를 적은 서(序)와 주인공의 일생을 압축해 운문형식으로 지은 명(銘)을 돌에 새겨 무덤 안에 넣은 기록물이다. 내가 고려 묘지명 실물들을 처음 공개한 이번 전시를 유심히 살펴 본 가장 큰 이유는 묘지명이 금석문이므로 고려 서예사 연구에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기 때문이었다. 우리나라 서예는 지금까지 주로 중국 글씨를 습자의 법첩으로 삼아 왔는데 이제부터 다양한 서체의 금석기 넘치는 고려 묘지명 서체를 우리 법첩으로 개발하여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차근차근 보던 중 묘지명의 다음 내용이 내 마음을 흔들었다.

‘아! 죽음은 누구나 겪는 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살다가 죽는 것은 낮과 밤이 바뀌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교대하는 것과 같으니 어찌 죽음만 싫어하고 사는 것만 좋아할 일인가? 다만 공명을 미처 세우지 못하였는데도 서둘러 멀리 떠나 처자와 벗들에게 오래도록 슬프고 아픈 고통을 준 것이 애석할 따름이다’ 삶과 죽음의 생생한 애환이 이토록 절실한 것이 인생이란 것이다. 그런데 전시장 마지막에 자기 묘지명을 스스로 지어보라는 자찬묘지명 연습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나는 그 앞에서 한동안 멍해지면서 빈약한 내 삶의 내용에 대한 회한과 부끄러움, 왜 그렇게밖에 못했노하는 분노 같은 자책으로 범벅이 된 왜소한 존재를 보았다. 나는 부모님에게 어떤 존재였는가? 처자식에게 따뜻하였는가? 제자들에겐 진실하였는가? 가난한 이웃들을 살펴보았는가? 나에게는 자찬묘지명을 채울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이 슬프게도 없었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