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3.9℃
  • 구름조금서울 0.4℃
  • 맑음대전 1.4℃
  • 구름조금대구 5.5℃
  • 구름많음울산 5.5℃
  • 구름많음광주 4.8℃
  • 맑음부산 6.6℃
  • 흐림고창 4.2℃
  • 구름많음제주 9.8℃
  • 맑음강화 -0.1℃
  • 구름많음보은 0.8℃
  • 맑음금산 1.0℃
  • 흐림강진군 3.8℃
  • 구름많음경주시 6.0℃
  • 맑음거제 6.6℃
기상청 제공

두려움 앞에 용기를 갖는 지혜

살아가면서 우리는 여러 종류의 두려움들과 마주할 때가 많다. 특히 경쟁이 치열한 삶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다가올 미래에 대한 두려움은 가장 큰 것 중에 하나일 것이다.

우리 음악가들도 음악을 하다 보면 자주 두려움과 마주하게 된다. 바로 무대공포란 것이다.
냉정한 관객들이 지켜보는 무대라는 무서운 공간에서 두려움과의 싸움은 어떤 연주건 간에 항상 찾아온다. 하지만 준비를 잘 하고 만나는 무대는 그 두려움을 넘어 말로는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정말 황홀한 곳이기도 하다.

음악 공연, 곧 무대는 연주자의 그 어떤 화려한 이력서보다 오로지 그날의 연주실력으로 관객들에게 평가받는 곳이다. 관객들은 연주자가 자신들을 만족시키는 공연을 하면 박수와 환호를 보내지만 실망스런 공연을 하면 야유 또는 무관심으로 연주자를 상대한다. 이러한 관객들의 냉정한 평가가 음악가에게는 가장 큰 두려움이고 또 가장 큰 부끄러움으로 다가온다.

그러나 철저하게 준비를 한 공연은 연주자에게 두려움을 자신감으로 바꿔준다. 또 공연의 성공을 미리 점칠 수 있기에 무대는 곧 행복한 기다림에 이어 황홀한 성취감으로 바뀐다.
우리의 인생도 그럴 것이다.

대학시절의 철저한 준비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행복한 기다림으로 바꿔줄 수 있을 것이다. 미래의 두려움 앞에서 용기를 가지게 하는 지혜는 바로 평소에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다.
이 준비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도 있고 실수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제점들과 실수를 해결해가면서 배우게 되는 소중한 경험들은 인생의 값진 지혜로 변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부터 준비해야 할지 모른다면 우리의 주위를 둘러보자. 가까운 데 있는 사소한 것도 준비하지 못하면서 무작정 불안해하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속담에 ‘등잔 밑이 어둡다’ 란 말이 있다.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우리 가까이에 있다.

관련기사





[사설] 지방대학 고사 막기 위한 정치권의 정책적 용단 필요 유난히도 올여름은 무더웠고 비도 많이 내렸다. 어느 한순간,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아름다운 계절이 되었다. 하늘 푸르고 높은 이 시간에 대학은 푸르고 높은 하늘만을 ‘멍’ 때리며 바라 볼 수 없다. 수시 입시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수시가 시작되면 전국의 대학들은 숨을 죽이고 지켜본다. 2024학년도 수시 입시의 지원 결과 서울과 수도권 대학의 입시경쟁률은 상승했고, 지방대학들의 경우는 하락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찌 보면 예상했던 당연한 결과이지만 대부분의 신입생을 수시라는 입시제도를 통해 뽑고 있는 지방대학들에는 치명적이다. 지방대학이 고사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지방대학의 고사는 지방 인구의 감소와 지역소멸이라는 절대적인 위기의식을 불러오고, 향후 커다란 국가 전체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소멸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방안을 허겁지겁 제시하고 있지만 이미 임계점을 넘은 우리 국민의 지방 탈출, 즉 ‘지방 엑소더스’의 거대한 파고를 막을 수는 없어 보인다. 문제의 핵심은 왜 서울을 선호하는가? 이다. 서울이 경제, 문화 및 교육의 중심지라는 생각과 출세가 가능한 곳이라는 현실과 믿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