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7.6℃
  • 박무서울 -1.9℃
  • 박무대전 -4.0℃
  • 박무대구 -2.3℃
  • 맑음울산 3.5℃
  • 박무광주 0.1℃
  • 맑음부산 5.0℃
  • 맑음고창 -3.7℃
  • 맑음제주 7.4℃
  • 맑음강화 -4.9℃
  • 구름조금보은 -6.3℃
  • 맑음금산 -5.9℃
  • 맑음강진군 -2.3℃
  • 맑음경주시 -3.6℃
  • 맑음거제 0.9℃
기상청 제공

청년실업을 생각한다


무엇이든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인간, 그저 먼 바다에 출렁이는 파도에 몸을 맡겨 두둥실 유유자적하는 인간으로 살고 싶다는 생각이 평생 끊이지 않았다. 왜 이런 상념이 끊이지 않았는지를 당시엔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하였지만, 훗날 나이 들어 생각해 보니 세상이 온통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사람만을 요구하였고 주위 사람들이 당연하다는 듯이 거기에 함몰되어 가고 있는 현실에 대한 반작용이었음을 알았다. 미술을 하는 나 같은 예술가에게조차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사람이 되라고 요구하였기에 오히려 나는 점차 사회에 쓸모없는 인간이 되고 싶었고 그런 길을 찾아 헤맸다. 사회의 전면에 나서는 일 없이, 주연이 아니라 관객으로 살아가는 길을 가기를 원하였다. 나라고 하는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런 인간이었다.

이 글은 일본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인 호리우찌 씨가 1988년 5월 20일자 일본 아사히신문에 게재하였던 수필의 일부분이다. 2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몰아친 군국주의는 ‘개인의 가치를 국가경쟁력 강화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개인의 활동은 국력 강화에 도움이 되어야만 가치가 있고, 그렇지 못하면 생존가치조차 인정받지 못하였다. 그런 시절에 호리우찌 씨는 개인의 가치는 사회적 유용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 그 자체에 있다는 점을 의식하며 살았었다는 점을 이 글을 통하여 강하게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나날이 청년실업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 방안은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정부는 청년실업의 문제를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개인 역량의 문제로 전가시켜 젊은이들을 무한경쟁의 시대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 작금의 실상이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와중에 ‘끊임없는 불안감과 경쟁만 조장하는 대학을 그만 두겠다’는 선언을 하고 대학을 자퇴한 한 대학생의 사연이 언론에 소개되었다. 쇼펜하우어처럼 자포자기를 통해 삶의 굴레로부터 해방되겠다는 선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해결로 치달아서는 안 된다. 인간은 사회에 유용해서 가치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 자체가 소중한 것이라는 자각을 통해서 이 시대 청년실업이라는 무거운 굴레를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마음이 무겁다.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