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8.7℃
  • 흐림강릉 15.5℃
  • 맑음서울 19.9℃
  • 맑음대전 18.3℃
  • 맑음대구 20.4℃
  • 맑음울산 17.8℃
  • 맑음광주 20.3℃
  • 구름조금부산 19.6℃
  • 맑음고창 19.3℃
  • 구름조금제주 21.2℃
  • 맑음강화 18.0℃
  • 맑음보은 18.9℃
  • 구름많음금산 17.9℃
  • -강진군 21.2℃
  • 구름많음경주시 19.6℃
  • 맑음거제 17.7℃
기상청 제공

나 혼자만이 아닌데...

겨울철 등산하다 조난을 당한 두 사람이 조그마한 텐트에서 난을 피하여 구조를 기다리다가 끝내 사망한 적이 있다. 구조대원들이 텐트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싸늘한 두 사람의 시체와 함께 한 권의 일기장이 발견되었다. 그 노트에는 나중에 죽은 사람의 죽기 바로 얼마 전까지의 심리과정이 기록되어 있었다.

친구가 죽자 남은 사람은 눈물을 머금고 친구의 유해를 텐트에서 조금 떨어진 바위 옆에 매장했다. 그런데 아침이 되어 일어나 보니 어제 분명히 매장했었다고 생각되는 그 시체가 자기 옆에 누워있지 않은가. 질겁한 그는 자신의 눈을 의심하면서 다시 시체를 운반하여 어제 묻었던 곳에 다시 묻었다. 그러나 다음날 아침, 역시 그 시체가 자기 옆에 누워 있었다. 묻어도 묻어도 자기 곁에 되돌아 온 시체에 대한 공포에 질려 착란을 일으키는 한 인간의 심리과정이 그 일기장에 적혀 있었다.

그 시체가 되돌아 온 것인지에 대한 진상은 수수께끼로 끝났지만 많은 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즉, 홀로 남은 사람이 견딜 수 없는 고독과 쓸쓸함으로 인해 깊은 잠에 빠졌을 때 무의식 세계에서 친구의 시체를 자기가 파내어 텐트로 옮긴 것이라는 것이 결론이다.

최근 고독의 세계에서 나타나는 인간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 노인층의 자살률 상승과 고독감과의 관련은 노인문제를 생각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로 이전부터 주목된 바다. 또 우주여행에서 우주비행사 홀로 어떻게 지낼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대 정신과학이 해결해야 할 중대한 문제의 하나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연대(連帶)를 가진다는 것은 살아가는 데 빠뜨릴 수 없는 조건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견디고 이겨낼 수가 있다. 나 혼자만이 어떠한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고 생각할 때만큼 인간이 고독한 때는 없을 것이다.구약성서를 보면 선지자 엘리야가 위대한 일을 하다가 대적에게 쫓겨 광야로 도망하며 ‘나만 홀로’ 남았다고 하나님에게 원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리적인 고독에서 정신적인 고독상태로 빠져 버린 셈이다. 사실은 나 혼자만이 아닌 데 말이다.

관련기사





[사설] 이제는 뉴스도 현명한 소비가 필요할 때 최근 20대 젊은층 사이에서 유튜브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나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뉴스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에 실시한 우리나라 국민의 디지털 뉴스 이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2명 중 1명(53%)은 유튜브를 통해 뉴스를 이용하며, 카카오톡(22%), 인스타그램(12%), 페이스북(10%) 등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뉴스 소비도 상당하다. 소셜미디어 환경에서는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의도치 않게 뉴스에 노출될 수 있다. 페이스북의 경우, 이용자의 대다수가 방문 목적과 상관없이 뉴스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한다. 뉴스와 사적인 대화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연히 뉴스에 노출된 것이 아니라, 뉴스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최근에 증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뉴스 보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목되는 것은 가짜 뉴스와 편파적인 뉴스이다.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은 이용자의 과거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관심 있을 법한 콘텐츠를 선별해서 추천하기 때문에, 진보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진보 성향의 기사를, 보수 성향의 뉴스 보도를 본 사람에게는 보수 성향의 기사를 추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