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3.1℃
  • 흐림강릉 6.0℃
  • 흐림서울 5.8℃
  • 흐림대전 4.6℃
  • 흐림대구 6.5℃
  • 흐림울산 7.4℃
  • 흐림광주 6.1℃
  • 흐림부산 7.0℃
  • 흐림고창 4.1℃
  • 제주 10.4℃
  • 흐림강화 5.1℃
  • 흐림보은 6.7℃
  • 흐림금산 4.1℃
  • 흐림강진군 7.1℃
  • 흐림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7.9℃
기상청 제공

답장


언젠가 산길을 걷다가 바람을 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바람, 그 자체로서 그를 본 것은 아니었습니다. 길섶에 우뚝 선 나뭇잎이 살랑대거나 목이 긴 원추리가 흔들거리는 것을 통해 비로소 바람을 보았던 것이지요. 땀으로 젖은 내 살갗에 바람이 닿았을 때 이윽고 그가 바람이 되었듯이 사람 또한 다르지 않습니다. 나 이외의 또 다른 사람이 있어야만 그제야 나의 모습이 보이는 것이겠지요. - 이지누의 <바람을 보았지요>

금주야! 오늘 나는 이 아름다운 시를 모두 스무 번도 넘게 읽었다. 나에게 아침마다 뜻깊은 편지를 보내주는 분이 이른 아침 보낸 편지에 이 시가 실려 있어서 너댓 번을 되풀이해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 끄덕이곤 했다. 그런데 정말 놀랍게도 오후에 도착한 너의 편지가 바로 이 시로 시작되더구나. 너댓 번에 너댓 번, 다시 너댓 번 이 시를 읽으면서 혹시 나에게 편지를 보내는 그 분이 너에게도 같은 편지를 보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고, 그랬으면 정말 좋겠다고 생각했다. 혹시 아니라면 그 분께 연락하여 여기 마음씨가 고운 처녀가 있으니, 그 처녀에게도 편지를 보내주라고 말해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날마다 같은 편지를 읽으면서 하루를 시작한다는 것은 정말로 기분 좋은 일이니까.

금주야! 작년 12월 졸업을 앞두고 네가 보낸 편지가 아직도 생생하다. 그 편지를 읽으면서 비로소 나는 ‘대견스럽다’는 말의 의미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편지를 들고 ‘봐라 우리 과의 금주라는 학생이 이렇게 거룩하게 잘 자랐다, 너거 과에는 이런 학생 있나, 있으면 손들어 보라’ 면서, 캠퍼스 안을 뛰어다니며 외치고 싶도록 기뻤으나, 내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이 밀물처럼 밀려왔던 것도 사실이다. 네가 그토록 아름답게 성숙하는 데 내가 한 일이 정말 아무것도 없다는 데서 오는 슬픈 부끄러움 같은 것 말이다. 오늘 너의 편지를 받고 꼭 같은 감정을 다시 느낀다. 교사가 꿈이자 미래였기 때문에 교사가 되려했던 지난날을 반성하고, 진정으로 학생들에게 꿈과 미래를 심어주기 위해서 반드시 교사가 되겠다는 너의 사연은 왜 이리 눈물나게 감동적이며, 왜 이리 눈물나게 슬픈 것이냐. 금주야! 경쟁률이 아무리 높더라도 너 같은 멋진 선생님에게 배우게 될 무수히 많은 학생과 그 학생들의 꿈과 미래를 위하여 너의 꿈을 반드시 이루거라. 그리하여 마침내 교생실습 때 연구 수업하던 너의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았듯이, 네가 정식으로 교사가 되어 아이들에게 ‘금상첨화(錦上添花)’를 가르치는 모습을 큰 나무 뒤에 숨어 지켜보고 싶다. 아자, 아자, 금주 아자!

관련기사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모든 존재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이들에게,  ‘어머니와 나’ 오늘도 밥은 제때 먹었는지, 수업에서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는지 물으시는 아빠께 툴툴거렸다. 당신 딸의 나이가 별로 실감나지 않으시는 눈치다. 사실, 저 안에 담긴 아빠의 마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래 놓고 돌아서서 후회하는 나 같은 학생들이 많으리라. 이 책은 어느 이름 모를 여사님의 일상 목소리를 기록한 것이다. 대화의 상대이자, 책의 저자인 김성우는 바로 그녀의 아들. 70대 초반쯤 되셨을 법한 여사님은 일상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상황-거창한 시대적 사건부터 천 원에 산 감자 이야기까지-에 대한 단상들을 꾸밈없는 잔잔한 언어로 들려준다. 그런데 책을 읽어가다 보면 모든 이야기가 편편이 분절된 것이 아닌, 세월만큼 깊어진 그녀의 너그러운 지혜로 꿰어졌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 책은 한 여인이 존재했음을 증명하는 구술사이자 그녀의 에세이요,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철학서인 것이다. 문학과 철학의 언어는 때로 우리에게 추상적으로 다가온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별 관련 없는, 재주 많은 이들의 영역인양 느껴지기도 한다. 리터러시 연구자로서 문자 자체에 대한 이해력을 넘어 삶이 스며있는 소통에 대해 이야기 해 온 저자는 “나의 어머니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