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지식융합형 인력양성을 위하여


첨단 과학기술에 더하여 디자인지식 뿐만 아니라 경험지식까지 요구하는 지금의 산업사회에서 현행 대학교육제도는 융합적 지식의 공급메커니즘으로 적합한가?

전공별로 세분화된 현행 대학교육제도는 데카르트나 뉴튼 이래 요소환원주의와 기계론적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사물의 본질을 알기 위해 쪼개고 또 쪼갠 부분적 현상의 인과관계의 규명으로 전체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지과학이나 게슈탈트 심리학과 같은 통합과학(unified science) 운동은 이러한 결함의 반성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대학들 역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공 간 벽을 허물고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을 장려하기에 이르렀다.

거기다 우리학교는 학부교육선진화사업(ACE)의 일환으로 학과 간 공동교육과정운영과 융합트랙제 등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을 살펴보면, 학생들이 복수전공을 하는 경우가 기대만큼 많지 않고 하더라도 유사한 전공이나 외국어 같은 취업에 유리한 분야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학부제 도입 10여 년 동안 성과가 그리 크지 않다. 부실해진 공학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공심화를 목적으로 제시된 공학교육인증제도 일면 타당성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융합적 공학교육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공학교육의 특성 상 전공심화교육을 무시할 수도 없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을 짚어볼 때 전공융합형 프로젝트 기반교육은 이공계나 인문사회계 혹은 산업지향적 예술분야를 유사 현장경험을 통해 아우를 수 있는 한 대안으로 고려해 볼 만하다. 현재 시행 중인 졸업시험제 외 3학점 프로젝트수행 두 과목을 선택대안으로 두 학기에 걸쳐 현장에서 도출된 실제과제, 예컨대 실행가능한 수준의 창업계획서 혹은 신제품 기획안을 만들면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해결의 경험을 쌓게 하는 것이다.

물론 강좌 당 수강학생의 구성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이 집단화 될 수 있도록 일률적인 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제도의 핵심은 학생 스스로가 문제해결을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하며, 어떻게 학습해야 될지 스스로 깨닫고, 실천하며 경험지식을 쌓는데 있다. 현장 프로젝트는 융합지식과 경험지식의 보고라는 말이다.

1900년대를 풍미한 바우하우스 문화운동의 시원인 독일 바우하우스대학교를 방문했을 때 지하작업실에서 지멘스의 과제를 가지고 분투하던 한 학생이 생각난다. 대학 강의실에서의 아주 작은 변화는 국가의 대변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