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내년 1학기부터 서울시내 각급 학교의 학업성취도 향상도가 교장.교감 인사에 반영된다.
서울시교육청은 17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공개된 데 대해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학습부진 완화 및 학력격차 해소 방안'을 발표했다.
내년 3월부터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별 향상도를 교장.교감 인사에 연계시켜 교장.교감 평가제를 실시하게 된다.
지난해와 비교해 올해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상위 3%의 교장.교감은 승진, 전보, 성과금 지급시 우대하고 하위 3% 교장.교감은 인사상 불이익 조치를 주기로 했다.
초중고 동일학군내 학교 간에도 학력 차가 있으며, 이는 학교장의 리더십과 교원들의 열의에 따라 학업성취 수준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그러나 학업성취 향상도를 교장.교감 인사에 반영하면 일선 교사들에 대한 압박이 심해져 결국 학교 간의 경쟁으로 평가 자체가 파행을 걷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엄민용 대변인은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은 평가 당일 학교에 오지 않게 하거나 운동선수 학생은 시험을 못보게 하는 등의 파행이 지난해도 있었다"며 "앞으로는 이런 일이 더 많아질 것이 뻔하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기초학력 미달학생 밀집학교에 대해서는 집중지원과 컨설팅을 강화해 초중고 250여곳에 약 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학교에서 학력신장 계획서를 만들어 제출하면 교육청에서 심사해 맞춤식 지원을 하기로 했다.
시교육청은 또 학생들의 성취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국가 및 교육청 주관 학력평가에 모든 학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3월 교과학습 진단평가, 10월 학업성취도 평가, 12월 중1.2 학력평가 등이 서울시내 모든 학교에서 실시된다.
시교육청은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해 진단평가 및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정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서울이 `꼴찌'의 불명예를 안게 되자 학생들이 평가에 좀더 진지한 자세로 임하도록 하려는 것이지만 내신 성적 산출을 위한 또 하나의 시험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분석된다.
kaka@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