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1℃
  • 맑음강릉 0.4℃
  • 맑음서울 -0.5℃
  • 맑음대전 -1.9℃
  • 맑음대구 -1.2℃
  • 맑음울산 -0.3℃
  • 맑음광주 -0.3℃
  • 맑음부산 2.8℃
  • 맑음고창 -3.8℃
  • 맑음제주 3.7℃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4.2℃
  • 맑음금산 -4.1℃
  • 맑음강진군 0.2℃
  • 맑음경주시 -3.2℃
  • 맑음거제 0.5℃
기상청 제공

[교수님 추천해주세요]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가수 태진아 씨의 ‘사랑은 아무나 하나’라는 노래가 있다. 이 곡의 제목이야말로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말하고 싶어 하는 것을 압축적으로 잘 표현해주고 있다. 사실 사랑은 아무나 쉽게 할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프롬은 이런 이해를 비판한다. 사랑에도 기술이 필요하므로 사랑도 배우고 익혀야 올바르게 성취할 수 있다고 본다.

누구나 그토록 사랑을 갈망하면서도 사랑하는 방법을 배우고 익히려고 노력하지 않는 이유는 몇 가지 사랑에 대한 잘못된 이해가 그 원인이라고 프롬은 본다.

우리가 극복해야 할 사랑에 대한 통념으로 프롬은 세 가지를 들고 있다. 하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랑의 문제를 사랑하는 ‘능력의 문제’로 보지 않고, ‘사랑받는 문제’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랑하는 능력을 키우기보다 많은 사람으로부터 사랑받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따름이다. 둘, 사랑의 문제를 ‘능력의 문제’로 보지 않고 ‘대상의 문제’로 바라본다는 것이다. 사랑하지 못하는 것은 사랑하는 능력의 부족에서가 아니라 사랑할 만한 대상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데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사랑하는 대상만 찾게 되면 사랑하게 된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 셋, 사랑을 ‘하게 되는’ 최초의 경험과 사랑하고 ‘있는’ 지속적인 상태 혹은 사랑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혼동하는 것이다. 외로움의 표현에 불과할 수 있는 한순간의 격렬한 감정을 사랑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프롬이 사랑의 통념을 극복하고 사랑의 기술을 배우기를 강조하는 것은 사랑만이 인간의 원초적 분리감과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분리감과 고독감을 극복하기 위해 술, 마약, 집단과의 합일, 창조적 활동 등을 통해 합일감을 시도하나 그것은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 프롬은 참다운 사랑만이 우리를 분리감이라는 감옥에서 해방해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본다.

참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일단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하며, 사랑을 주는 것이 더 큰 것을 얻는 것이라는 사실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고 프롬은 본다.
일상적으로 받는 것은 얻는 것이며, 주는 것은 잃는 것이자 심지어 빼앗기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프롬은 사랑을 주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가능성과 잠재성을 실현하고, 완성하는 생산적 활동이며, 타인으로부터 사랑을 이끌어내서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받는 존재로 만든다고 본다.
다시 말해 사랑을 줄 수 있는 자만이 자신을 완성해 나갈 수 있으며, 진정으로 사랑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사랑받는 자가 된다는 것이다.

이런 참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프롬은 우리를 더 나은 인격적 존재로 완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인격적 존재가 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서 사랑을 갈망하고 사랑을 꿈꾼다는 것은 불가능한 환상을 쫓는다고 볼 수 있다. 프롬의 사랑의 기술을 통해 사랑의 본질에 눈뜨고, 지금보다 더 많은 것들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는 참 계명인을 기대해 본다.

관련기사





[사설] 왜 읽고 생각하고 쓰고 토론해야 하는가? 읽는다는 것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지식의 습득은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지식 정보를 수집해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것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 읽기다. 각 대학들이 철학, 역사, 문학, 음악, 미술 같은 인문·예술적 소양이 없으면 창의적인 인재가 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고전과 명저 읽기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교과 과정으로 끌어들여 왔다. 고전과 명저란 역사와 세월을 통해 걸러진 책들이며, 그 시대의 가장 첨예한 문제를 저자의 세계관으로 풀어낸,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는 책이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가치를 발하는 정신의 등대 역할을 하는 것이 고전과 명저라 할 수 있다. 각 기업들도 신입사원을 뽑는 데 있어서 자신의 재능과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에세이와 작품집을 제출하는 등의 특별 전형을 통해 면접만으로 인재를 선발하거나, 인문학책을 토대로 지원자들 간의 토론 또는 면접관과의 토론을 통해 인재를 선발하는 등 어느 때보다 인문과 예술적 소양을 중시하고 있다. 심지어 인문학과 예술을 모르